전북은 전통적으로 농업의 비중이 큰 지방이며 국가적으로 농업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전북 농업의 정보화 수준을 보면 한마디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우선 컴퓨터 보급률이 20%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전북도 차원의 사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라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극히 초보적인 컴퓨터 교육 이외에는 대책이 없는 상태이다. 심지어 전국 차원의 홈페이지 구축 지원 사업에 겨우 11명이 지원을 받은 실정이니 전북도 차원의 정보화 사업은 손을 놓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으로 농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보화가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농산품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농산품의 생산량을 조절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 생산 농가별로 생산량을 중앙 통제소에 연락해야만 한다. 단위 농협이 중앙 통제소 역할을 한다면 채소나 축산품의 생산량이나 재배 면적 또는 상태를 단위 농협에 보고하고 단위 농협에서는 출하량을 조정하도록 지시해야 한다.
가격 결정 뿐 아니라 집단 판매와 판매후 대금의 입금관리 등도 모두 컴퓨터 정보망을 통해 이루어 져야 할 것이고 나아가서는 생산 기술의 보급 및 지시 등도 모두 정보화를 통해 촉진되고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농업 발전 면에서 차지하는 정보화 사업의 이상과 같은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전북 농업 부문의 제자리 걸음은 전북 농업의 낙후를 예고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농가의 고령화 등을 이유로 컴퓨터 보급이 잘 안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우리 농촌은 취락 단위별로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활용하면 이 문제의 해결책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전북도 차원에서의 정보화 수준은 비단 농업 부문에서만 뒤지는 것이 아니다. 중소기업, 행정, 교육 분야 등에서도 낙후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분야는 나름대로 대책을 갖고 추진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단지 농업 분야는 전북도 차원에서도 소외되고 있다는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전북도가 예산이 없다고 해도 최소한 농협 및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정부 사업을 제대로 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농수산부나 정보통신부 협력 채널을 만들어 내면 많은 부문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전북도 차원에서 농업 부문 정보화에 좀더 많은 관심을 지니고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