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17:31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알뜰살뜰 설 차례상 이렇게 차려요

온가족이 함께 모인 설날 아침. 올해는 여느 해보다 의미있게 차례를 지내려는 사람들이 많을 것. 조상께 새천년의 시작을 알리고 희망찬 앞날을 다짐하려는 이들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알뜰한 설 차례상차리는 방법과 차례지내는 법을 소개한다.

 

차례상은 형편에 맞게 차리되 정갈하고 정성스럽게 지내는 것이 중요하다. 예로부터 차례지내는 법은 ‘가가례(家家禮)’라 할만큼 지방과 집안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형식에 얽매이는 것보다 예에 어긋나지 않으면서 검소하게 차리는 것이 지혜롭다.

 

설 차례상에는 밥(메)대신 떡국을 올린다. 떡은 썰지않은 백설기를 올리고 삼탕(육탕·어탕·소탕), 삼적(육적·어적·소적), 삼색나물(시금치·고사리·도라지), 포(북어·대구포·육포), 유과류와 과일 등을 형편에 맞게 준비한다. 또 차례음식에는 마늘 파 고춧가루를 쓰지 않는다.

 

차례상은 북쪽으로 놓고 제주가 젯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을 동, 왼쪽을 서라 한다. 차례상 가장 윗쪽에는 지방이나 고인의 사진을 놓고 그 양옆에 촛대를 세운다. 두분을 모실경우 남자조상은 서쪽, 여자조상은 동쪽에 모신다.

 

신위에서 가장 가까운 제1열에는 시접과 잔반, 떡국을 놓는다.

 

2열에는 전과 적 편을 왼쪽부터 순서대로 놓는다. ‘어동육서’ ‘두동미서’를 원칙으로 한다. 전도 소전 어전 육전중 한가지만 올려도 무방하며, 양념장을 해 찐 것을 말하는 적도 한가지로 줄이거나 합적할 수 있다. 어적으로 조기 찐 것을 놓기도 한다.

 

3열에는 탕을 놓는다. 전에는 육탕, 어탕, 소탕을 모두 올렸지만 요즘은 세가지를 합한 합탕을 올리기도 한다.

 

4열에는 나물과 포를 ‘생동숙서’ ‘좌포우혜’에 따라 놓는다. 날것은 동쪽 익힌 나물은 서쪽에 놓고 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다. 포는 한가지만 올리면 되며, 나물은 삼색(푸른색 갈색 흰색)을 갖춰 한제기에 올린다. 나물은 고사리와 무나물이나 숙주, 시금치나 쑥갓 등을 마련한다.

 

제5열에는 과일을 놓는다. 과일은 ‘조율이시’와 ‘홍동백서’에 따라 왼쪽부터 밤 배 곶감 약과 사과 대추 등의 순서로 놓고 종류는 반드시 홀수로 한다. 사과 다식 등을 올릴 수 있다.

 

⊙ 차례지내기

 

차례는 기제사(忌祭祀)와는 차이가 많다. 원칙적으로 무축단작(無祝單酌)이라해서 축문을 읽지 않고 술잔도 한잔만 올린다. 또 촛불은 조상의 식사자리를 밝힌다는 의미로 차례상에 올리지만 켜지 않는다.

 

지방을 중심으로 동쪽에 남자자손이 서고 서쪽에 여자자손이 자리한다.

 

제주가 술잔을 올리고 재배한다. 참가자 전원이 큰절한다. 지방을 태우고 상을 물린다. 음복한다.

 

절을 할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을 잡은후 양손을 모은다. 허리를 굽혀 손을 바닥에 짚고 왼쪽 무릎을 먼저 바닥에 꿇는다. 일어설때는 오른발을 먼저 세우고 양손을 무릎 위에 댄 뒤 왼발을 세운다. 두번 절한다.

 

여자는 오른손이 왼손을 잡고 두팔을 어깨 높이로 올려 이마쪽으로 당긴다. 남자와 같이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일어날때는 수평으로 올렸던 양손을 원래 위치에 놓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