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 총선이 한달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여야 각 당은 지구당 개편 및 필승 결의대회 등을 개최하여 세몰이에 열중하고 있다. 그런데 선거일이 가까워지면서 우려했던 혼탁선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정치권은 유권자들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구태의연한 선거방식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고, 일부 선거브로커들 및 유권자들은 대목을 맞이한 듯 입후보자들에게 접근하여 돈을 요구함으로써 더욱 혼탁선거를 부채질하고 있다. 실망한 많은 유권자들은 또 다시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나마 다행히도 언론사가 중심이 되어 지상정책토론들을 추진함으로써 정책중심의 선거로 이끌려는 노력이 돋보이고 있다. 선거는 정당의 정책과 인물중심으로 치루어 져야 하는 것이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정당이나 유권자들은 이 부분에 무관심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 책임은 양자 모두에게 있다. 정당은 정책개발보다는 경쟁정당의 흠집내기와 지역구도를 악용한 손쉬운 선거방식을 선호했으며, 유권자들은 정당의 정책보다는 지역정당의 무조건적인 지지로 일관했던 것이 우리의 현실이었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일부학자들은 한국정당 구조가 이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결과라 지적한다. 그러나 실은 정치에 식상한 유권자들의 정치적 무관심이 불러온 결과라 할 수 있다. 정치에 무관심한 유권자들을 유혹하기에는 정책제시보다 자극적인 방식이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총선시민연대의 낙천·낙선운동으로 시작된 선거혁명은 현재 심각한 위기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그렇다고 여기서 포기할 수는 없다. 이번 기회마저 무산된다면 정말 우리 선거풍토의 개혁은 앞으로도 어려울 것이다. 이를 위해 유권자들이 합심하여 새로운 결실을 맺어야 한다. 정치권은 지금부터라도 정책대결을 중심으로 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고, 유권자들은 무관심보다는 정치권에 대한 질책과 감시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
물론 정치권은 정책대결을 한다하여 선거용으로 일회용 공약만을 내세워서는 안될 것이다. 시민단체들은 선거풍토가 더 이상 타락하지 않도록 정치권과 유권자들을 감시해야 하고, 정부는 공정하고 엄중한 법집행을 통해 부정선거를 발본색원하려는 의지를 보여야 한다. 도민들도 이 지역의 선거풍토만이라도 먼저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이번 선거에 임해야 한다. 이러한 지역적인 노력들이 모여서 한국의 선거풍토는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