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사설] 祝祭 特需도 못챙겨서야

4월 이후로 전주영화제를 비롯, 지역마다 각종 축제들이 잇따라 개최될 예정이다. 전주 대사습놀이, 남원 춘향제에 이어 지평선 축제, 해넘이 축제, 반딧불 축제 등이 줄을 잇고 있는 추세지만 그것들이 과연 어느 정도나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고 있느냐는 아직은 미지수로 되어 있다.

 

일부 지역에서 축제 이후의 관광열차 도입 등 후속 사업을 병행하고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것은 다행스런 일이기는 하다. 그러나 지역의 경제 여건상 특수가 기대되지 않고 있는 것은 유감이 아닐 수가 없다.

 

전주 국제영화제는 영화의 세계화 및 정보 교류, 국내외의 유능한 작가 발굴등은 말할 것도 없고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궁극적으로는 지역 상품화와 경제 활성화에 있다고 할 것이다. 부산의 경우 4회에 걸친 영화제 개최를 통해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함께 세계속으로 뻗어가는 도시 모습을 연출하는데 노력을 경주하고 있지 않던가. 이 점에서 보자면 전주 영화제가 지향하는 바도 분명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번의 전주 영화제가 처음이라고 해서 단순히 준비하고 개최하는 데에 의의를 두는 식으로 진행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만약 준비가 미흡하여 그 파급 효과를 정확하게 예측치 못하는 상황에서는 단순히 영화 소개의 장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것을 관계자들은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 점에서 최근 이 지역에서 개최되는 축제들이 짧은 기간내에 사람들을 동원하는 가운데 집중적인 수요를 유발시키는 등 경제 활성화의 좋은 조건들을 갖춰 주는데도 경제 상공인들이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는다면 그 도리가 아니라고 할 것이다.

 

아직까지도 지역 경제계는 영화제 개최의 경제적인 파급 효과에 대해서 제대로 검토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전주 영화제가 기존의 문화축제들과 동시다발적으로 개최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전주시와 전북도 일원이 특수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2000년에 열리는 첫 번째 국제영화제인 만큼 여느 국제영화제와도 달라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전주시의 디지털 도시화, 영상산업 도시화, 문화 도시화 지향은 다분히 도시를 상품화 하자는 것이 아니던가. 축제와 도시 상품화의 열매를 따먹는 주체는 바로 지역주민과 경제계이다. 자치단체가 잔칫상을 차리는 대신 지역경제계는 최대의 경제 효과를 냄으로써 지역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일반전북시인협회, 제25회 전북시인상 시상식 및 제1회 신인상 시상식 성료

경제일반의무 규정 강화에 시공비 상승…내년 전북 아파트 분양가 '2000만원' 육박하나

경제일반전북 제조업 생산 증가했지만 소비·수출 부진…실물경제 '불균형'

정치일반전북자치도, 2025년 국가예산 9조 2244억 원 확보…공모사업·공통예산 덕분

정치일반전북, 세계·국가지질공원 브랜드 강화로 생태관광·경제 활성화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