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천년 새 인물을 뽑는 4.13 16대총선이 10명의 선량을 선출하고 16일간의 불꽃 레이스를 마감했다.
총선결과 민주당이 도내 10개 지역구 가운데 9곳을 석권하면서 중진의원을 대거 배출, 전북 정치사에 새로운 중흥기를 맞고 있다.
이에 한국 정치를 주도할 전북 정치권이 나아가야할 방향과 과제를 모두 5차례에 걸쳐 조망해본다. /편집자주
이번 16대 총선을 통해 전북 정치권은 새로운 중흥기를 맞고 있다.
민주당이 도내 10개 지역구중 9석을 석권한 가운데 다선 의원을 대거 배출, 중진의원시대를 활짝 열었다.
7선인 이철승전의원과 5선인 장경순전의원에 이어 도내 지역구 사상 세번째로 5선의원이 2명씩이나 배출됐다. 정읍에 김원기전의원과 완주.임실에 김태식의원이 바로 그 주인공. 민주당내에서도 5선이상 의원은 모두 6명에 불과하다.
또한 익산 이협의원과 고창.부안 정균환의원이 4선반열에 올랐고 장영달의원이 3선을 차지하는등 절반이 중진급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와함께 재선급도 전주덕진 정동영의원, 군산 강현욱의원, 김제 장성원의원, 진안.무주.장수에 정세균의원등 4명이나 된다.
이같이 도내출신 다선의원이 대거 원내에 진입함에 따라 전북정치의 역할과 위상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예견된다.
실제 도내 다선의원마다 제각각 큰 정치, 힘있는 정치, 차세대 지도자등을 표방하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김대중대통령임기이후 정치구도가 불명확하기때문에 저마다 자생력을 배양하는 한편 독자적 행보를 통한 정치력 확산에도 주력할 것으로 점치진다.
일부에선 당권도전및 차기 대권도전을 염두에 두고 전북정치권의 맹주를 자처하며 수면하에서 행보를 넓혀가고 있다.
도내 좌장격인 김원기민주당고문은 이미 선거전을 통해 정치적 포부를 피력한 바 있다.
권토중래에 성공한 만큼 전북정치권의 중심축 역할을 다하겠다는 것. 나아가 6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 경선에 도전, 경륜과 역량을 바탕으로 당 대표를 맡아 장차 큰 정치를 펴겠다는 의욕이 넘친다.
같은 5선인 김태식의원도 그동안 당 사무총장, 원내총무, 농림수산위원장등 요직을 두루 거쳤기때문에 16대 국회에서는 적어도 국회부의장직은 ‘떼놓은 당상’격이라는 계산이다.
집권여당 사무총장에 이어 총재특보단장으로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정균환의원도 4선의원의 위상에 걸맞은 역할이 기대된다.
이번 총선과정에서도 수도권등을 비롯 외부인사 영입및 공천과정에 깊숙히 개입하면서 나름대로 당내 기반을 구축한 만큼 향후 행보에 주목을 받고 있다.
4선고지에 오른 익산 이협의원도 강한 정치, 큰 일을 표방하며 내심 입지를 세웠고 3선인 전주완산 장영달의원도 벌써부터 이인제-김근태-노무현을 잇는 50대 기수론을 주창하며 원내총무 도전을 강력 시사중이다.
재선급에선 전주덕진 정동영의원은 차세대 지도자를 꿈꾸며 이번 총선에서 당내 386세대등을 집중 지원하는등 몸집불리기에 주력했다. 초선에도 불구 야당 정책위의장까지 역임한 강현욱의원도 여당에 입당했기때문에 말을 아끼고 있지만 경제전문가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여당 정책조정위원장을 맡은 김제 장성원의원과 진안.무주.장수 정세균의원도 실물경제에 밝아 당내에서 두각을 보일 전망이다.
이처럼 이철승전신민당총재이후 침체일로에 있던 전북정치권이 다시 활기를 찾음에 따라 정치권에 대한 도민들의 기대도 한껏 부풀어 오르고 있다.
그러나 전북정치권이 구심점을 갖추지 못한 각개약진으로선 한계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1인보스체제의 인적중심으로 구성된 우리 정당구도상 독자적 행보로는 역할이 어려운 실정이기때문. 따라서 3김시대이후 정치상황변화를 선도할려면 전북정치권 스스로 자생력과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
이번 선거전에서 야당이 제기한 “정치권의 광주.전남예속화”를 단순한 정치공세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자아성찰의 고언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더욱이 총선에서 드러난 표심을 통해 도민이 무엇을 원하는지, 정치권이 해야할 일이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심이 정치권을 떠날땐 존립의 근간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