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단의 거성 미당 서정주(未堂 徐廷柱)가 향년 85세를 일기로 서거하였다. 삼가 명복을 빌면서 그의 시의 자취를 더듬어보기로 한다.
미당은 1936년 21세의 젊은 나이에 김광균 오장환 등과 함께
<시인부락>
의 동인으로서 문단활동을 시작하였으며,
<화사집>
<귀촉도>
를 비롯하여
<신라초>
<동천>
<질마재신화>
<떠돌이의 시>
등등 숱한 시집을 내는 일방
<천지유정>
을 비롯한 많은 산문을 남기고 있다. 이제 그의 시인으로서의 생애를 간단히 요약해 보기로 한다.
천지유정>
떠돌이의>
질마재신화>
동천>
신라초>
귀촉도>
화사집>
시인부락>
그의 첫 시집인
<화사집>
의 첫머리에 실려 있는 ‘자화상’에는 “스물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八割이 바람이다”라는 귀절이 보인다. 형상 없는 자연 현상인 “바람”에다 “팔할”이라는 숫자를 연결시킴으로써 기묘한 자조적(自嘲的)인 뉘앙스를 풍겨주는 이 귀절은 어려운 식민지시대를 젊은 나이에 겪어내야만 하였던 서정주의 방황하는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그의 시인으로서의 생애를 예감하고 있는 듯하여 인상깊다. “찬란히 틔어오는 어느 아침에도/이마에 얹힌 시의 이슬에는/몇 방울의 피가 언제나 섞여 있어.” ‘자화상’에 보이는 이런 구절에서도 우리는 가령 19세기 프랑스 시인 랭보나 30년대의 이상같은 이들에서 볼 수 있는 어떤 요절(夭折)의 전조(前兆)같은 것을 느끼게 된다. 그만큼 이 시집에 담긴 시편들에서는 랭보나 이상에서와 같은 당돌한 절망이 예사로이 토로되어 있기 때문이다.
화사집>
미당의 시의 생애를 살펴볼 때 분명 그의 생애는 바로 이 바람에 휘둘리는 방황과 광기의 생애였음이 사실이지만, 그러면서도 그는 그 바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가운데 어느새 그런 젊은 날의 절망과 광기를 꾸준히 다스리며 잠재우는 데 성공하는 것이며 뿐만 아니라 줄기찬 구도적인 편력을 거쳐 신앙적인 안주의 자리를 마련하는 데 성공하는 것이다.
“초롱에 불빛 지친 밤하늘/구비 구비 은하ㅅ물 목이 젖은 새/참아 아니 솟는 가락 눈이 감겨서/제 피에 취한 새가 귀촉도 운다/그대 하늘 끝 호을로 가신 님아” 이는 미당의 두 번째 시집
<귀촉도>
에 수록되어 있는 ‘귀촉도’의 끝 연이다. ‘자화상’에서 볼 수 있었던 숨가쁜 호흡은 많이 가시었다. “병든 숫캐”와도 같은 절망적인 헐떡거림도 이제는 많이 가시었다. 그 대신 영영 다시 볼 길 없는 먼 길로 떠나간 임을 향하여 피를 토하며 우는 귀촉도의 모습에 가탁하여 나라 잃은 설움을 애절한 한 가락으로 읊고 있다.
귀촉도>
방황하는 젊은이로서의 울분, 상실의 설움에서 연유되는 통곡을 거쳐 그는 가령 ‘국화 옆에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자연에의 관조의 자세를 정립한다.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하여/봄부터 소쩍새는/그렇게 울었나보다”라는 구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당은 이제 자연의 순리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관조의 자세를 정립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자세는
<서정주시선>
무렵의 절창인 ‘上里果園’에서의 “어둠이 우리 어린 것들과 산과 냇물을 까마득히 덮을 때가 되거던, 우리는 차라리 우리 어린 것들에게 제일 가까운 곳의 별을 뵈일 일이요, 제일 오래인 종소리를 들릴 일이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연에의 조화를 지향하는 경지로 나아간다.
서정주시선>
<신라초>
무렵에 이르면 불교적인 세계에의 줄기찬 탐험의 자세가 반영되어 있으며,
<동천(冬天)>
에서는 자연의 운행에 순응하려는 삶의 자세를 볼 수 있다. “내 마음 속 우리 님의 고운 눈썹을/즈믄해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동지섣달 날으는 매서운 새가/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이는 “동천”이라는 시이다.
동천(冬天)>
신라초>
고도의 상징으로 압축된 이 시에서 “매서운 새”란 시인 자신의 줄기찬 지향성을 암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거니와, 그러한 시인의 지향성으로도 어떤 구경(究竟)에 이르면 결국 돌아서 비끼어갈 수밖에 없다는 것을 토로한 시이다. 말하자면 인간에의 줄기찬 탐험을 계속하던 시인 서정주는 마침내 시적 탐험의 한 구경(究竟)에 부딪치는 것이며 그리하여 다시금 범속한 일상의 대자로 하강하지 않으면 안 되기에 이른다.
미당이 자기 고향 둘레의 일상적 삶의 모습을 점검하면서 그 바탕에 함축되어 있는 “신화”를 탐색하고 있는
<질마재 신화>
는 이런 맥락에서 연유된 것이라 하겠다. 그 이후의 그의 시편들도 대체로 이런 문맥의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질마재>
미당의 시의 생애는 줄기찬 구도의 그것이었다. 이 점에서 그의 생애는 우리 문학사의 위대한 기록으로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