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효관(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전국적으로 문화도시 열풍이다. 물론 이런 현상은 부분적으로 과열일 것이다. 사람들은 거의 모든 도시가 문화도시, 창조도시 만들기에 나섰다고 폄하하기도 하지만, 문화도시 프로젝트는 문화가 삶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특히 중소도시의 경우에 문화도시 만들기는 매우 현실적인 과제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도시에서 구도심의 쇠락현상, 재래시장의 붕괴는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문화도시 프로젝트는 이 현실에 대응하는 문화적 전략이자 대안을 구축하는 작업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구상은 성공할 수 있을까? 사람들은 문화도시 프로젝트에 대해 의구심이 많다. 요즘 나는 광주에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 의구심들에 답하느라 바쁘다. 광주 프로젝트의 요지는 구도청 부지에 교류와 창조를 통해 가동되는 문화 발전소를 만들고 그 성과를 도시 전체로 확산하여 새로운 인본주의 도시(neo-humanic city)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또 이와 유사한 프로젝트가 광주뿐만 아니라 전주, 경주, 부산 등에서도 추진 중이다. 또한 국가 프로젝트 위상에서는 아니지만, 지역의 자구적 차원에서도 문화도시화 계획이 속속 수립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 기획예산처가 주관한 문화 예산 토론회에서 문화도시 프로젝트를 국가 예산으로 감당하기는 힘들다는 목멘 소리가 대세를 이루기도 했다.
어쨌든 문제는 문화도시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는 조건일 것이다. 먼저, 한 도시가 문화도시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도시 자체의 문화적 자생력이 필수적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말하자면 예산 지원이 우선이 아니고 문화도시를 만들어갈 자생력이 있을 때에만 예산 지원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자기 프로젝트가 없이 예산이 배정되면 마치 ‘떳다방’처럼 행동하는 사람들만 있는 곳에서 문화도시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또 하나, 문화도시 프로젝트는 문화적 행정이 발전한 곳에서 성공할 것이라고 나는 믿고 있다. 문화도시는 창의성을 핵심으로 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창의성을 존중하는 프로세스가 필수적이다. 문화행정이 제대로 움직이는 사람들을 찾을 줄 알고, 그들이 수행하는 작업의 ‘저작권’을 존중할 줄 알며, 남의 아이디어와 사유의 힘을 제대로 초대할 줄 아는 곳에서 문화도시는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해관계에 의해 결정하고, 기획에서 기획자의 이름을 지우고, 남의 아이디어를 도용하는 행정에서 문화도시는 불가능하다.
아마도 문화도시 프로젝트는 문화적 자생력과 문화행정 사이의 생산적 관계가 설계되는 곳에서 성공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문화도시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는 누가 선점하는가의 문제가 아닌 누가 문화적 과정을 설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일 수밖에 없다.
/전효관(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