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판화는 단순히 ‘찍는다’는 개념을 넘어섰다. 독창성과 예술성에 대한 작가들의 욕구는 판화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도 이미 그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전북도립미술관(관장 최효준)이 3월 30일까지 ‘한국 현대판화의 흐름’전을 열고 있다.
한국 현대판화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고 주목받는 신진 판화작가들을 선보이는 자리. 195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작품들과 신세대 판화작가들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들로 구성됐다.
목판인쇄술과 같은 활자문화의 전통을 지닌 역사 속에서 서구적 기법을 이용한 현대판화 등장기 작품으로는 변월룡 유강렬 이상욱 이항성 정규 최영림 등의 작품이 전시됐다. 대학에서 판화교육을 시작하고 실크스크린과 같은 새로운 판법이 유행하던 50년대 말 부터를 현대판화가 형성되고 전개되는 시기로 보고, 강환섭 김봉태 배륭 함창연 등의 작품을 선보였다.
70년대는 국내 미술계에 판화가 적극적으로 수용되면서 활성화된 시기. 강국진 김구림 이우환 한운성 황규백 등의 작품이 전시됐다. 80년대는 추상적 경향의 작품과 민중미술계열의 작품이 공존하던 시기. 이때부터 한국판화의 질적·양적 성장이 이뤄진 것으로 본다. 곽남신 김억 김준권 오윤 홍선웅 정원철 등이 대표적인 작가다.
판화의 원리를 고수하면서도 다양한 기법을 도입한 현대판화의 신세대 흐름을 구성하는 작가들로는 김창수 김혜균 배남경 오영재 유림 이주학 등이 꼽힌다. 이들 작품도 함께 전시됐다.
학예연구실 김현정씨는 “평소 도민들이 접하기 어려운 판화를 소개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소외된 장르였던 판화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기획했다”며 “부수적인 활동영역으로 판화를 선택한 작가들은 제외했으며, 판화를 주요활동 영역으로 꾸준하게 작업해 온 작가들의 작품을 위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