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애인은 잠재적인 장애인이다. 일각에서는 교통사고로 사망할 확률이 3만분의 1이라는 계산까지 내놓으며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경고 하고 있다. 정상인도 언제든지 교통사고를 당할 수 있고, 심하면 장애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지역사무소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기준 도내 등록 장애인은 11만1000여명이다. 지난해 도내 인구가 187만8000여명이니 전체의 5% 가량이 장애인인 셈이다.
하지만 이들은 직장·공공시설 이용·사회적 편견 등 비장애인은 생각하지도 못한 부분에서 차별을 받고 있다. 더욱이 이들을 위해 정책을 집행해야 할 공무원들은 해당 장애인 편익 관련 시설물에 대한 현황 파악도 제대로 하지 못해 헤매고 있었다.
실제 지난 23일 전주시의 백제로는 일반인이 보행하기에도 불편했다. 중간중간 지하보도와 횡단보도 사이가 너무 멀고, 지하보도에도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없었다. 신체가 불편한 이들에게 시내 보행은 첩첩산중이었다. 그래서 행정기관에 관련 시설의 현황을 문의했지만 전주시청은 해당 구청에, 구청은 시청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차례의 전화 끝에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처음에는 서류상 지하보도 6곳 중 2곳에 장애인용 리프트가 비고란에 기재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다시 확인을 요청하자 잠시 뒤 장애인 리프트가 있는 곳은 1곳이라고 정정했다.
이날 통화를 시도했던 일부 공무원들은 아직 업무파악이 끝나지 않아 잘 몰랐다고 해명했다. 공무원이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사안을 잘 알지 못한 것도 문제지만 관련 공무원이 업무 파악에 많은 시일이 걸릴 정도의 행정시스템이라면 큰 문제가 아닐까.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