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9:46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김학 수필집 '자가용은 본처 택시는 애첩'

마음속 고향 그리며 떠나는 가을여행

'불광불급(不狂不及)'. 미쳐야 미친다.

 

그저 수필을 쓰는 것이 좋았다. 애착이 많아 학생들에게 수필 쓰는 법을 가르치기도 했다.

 

수필가 김학씨(65·사진)가 「자가용은 본처 택시는 애첩」 (좋은수필사)을 펴냈다. 그에겐 수필이 애첩이라기보다는 본처다.

 

목적지를 결정하는 사람의 한 마디로 그 운명이 결정나는 택시는 타고 내리기가 쉽다. 미련없이 떠나보내는 애첩과 비슷하다. 반면 승용차나 본처는 늘 곁에 있어 존재감이 없는 것 같지만, 헤어지려면 매매양도 절차·이혼 등 고된 절차를 치러야 한다. 그에게 수필은 없으면 불편해서 못견디는 그런 존재다.

 

그의 글엔 유독 고향이나 친구 이야기가 많다. 임실 삼계 박사마을, 마음 속 고향을 그리며 나들이를 떠나기도 하고, 군불을 지핀 안온한 온돌방에서 묵고 싶은 소박한 일상을 꿈꾸기도 한다.

 

그래서 글을 읽노라면 감칠맛 나는 비빔밥을 먹는 것 같다가, 구수한 숭늉으로 목을 축이고, 걸쭉한 막걸리까지 들이키는 듯한 느낌이 든다.

 

오랜 시간 수필을 썼고 가르쳐 왔지만, 그는 늘 '역지사지'의 자세를 강조한다. 미처 보지 못한 사물에 대한 다양하고 깊이있는 시선을 담기 위해서다.

 

또한 수필의 길이도 좀 더 짧아지고, 시각적인 효과까지 염두에 두고 써야 한다고도 한다.

 

모니터 화면을 메우는 분량은 200자 원고지 5매 정도이므로 그 이상 넘어가면 흥미를 잃게 된다는 것. 또한 동양화가 여백의 미를 강조하고 있는 것처럼, 문단 띄워쓰기 등 한 눈에 들어오게끔 글을 쓰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북대 사학과, 경영대학원 졸업했으며, 전북수필문학회, 임실문인협회, 전북문인협회, 전북펜클럽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1978년 처녀 수필집 「밤의 여로 1」「밤의 여로 2」 「철부지의 사랑연습」 「춘향골 이야기」「오수 땅 오수사람들」「가을 앓이」 「아름다운 도전」 「실수를 딛고 살아온 세월」과 평론집「수필의 맛 수필의 멋」등 다수가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