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예회관을 바라보는 시선이 자부심보다는 걱정이 많이 담겨 있는 게 사실입니다. 주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시설로 요금이 비싸다는 지적도 있고, 낮은 재정자립도를 문제 삼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역예술단체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죠. 그 비판의 소리를 낱낱이 들어보면서 문예회관 운영에 관한 시각부터 정리할 필요가 있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13일 서울 충무아트홀에서 '문예회관 운영 현황, 그리고 남겨진 과제'를 주제로 강연에 나선 박영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예술정책팀장(48·사진)은 "건립 단계부터 운영 방향이 없는 채로 예산 확보를 위해 일단 질러놓고 보자는 식이 되다 보니, 서로 다른 프로그램에 모두 활용 가능한 다목적홀, '무목적 홀'로 지어져 지역 특성에 맞는 문예회관이 건립되지 못하고 있다"며 "지역 문예회관의 명확한 미션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문예회관 건립 주체는 지방자치단체가 대다수. 운영주체는 크게 직영사업소, 시설관리공단 위탁 운영, 지역문화재단과 재단법인의 위탁 운영, 민간 단체나 개인 위탁 운영으로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박팀장은 "어느 형식이 바람직한가 하는 문제는 지역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지만, 직영보다 외부 위탁, 순수 민간위탁보다는 지역문화재단이나 문예회관 운영 재단법인을 설립해 위탁하는 경우가 선호되고 있다"며 "지자체와 분리돼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순환근무 공무원보다 전문 기획 인력이 가능해지고, 민간 경영기법을 도입해 조직의 유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고도 말했다.
특히 그는 재정자립도가 높을수록 지역문예회관이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곳으로 여겨지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며 문예회관은 공공재로서 이윤 추구가 아닌 시민들에게 문화향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곳이기 때문에 자체 기획공연이 많아질수록 재정자립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박팀장은 공립예술단체를 보유해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해서 반드시 양질의 레퍼토리가 담보되는 것은 아니라며 사무실과 연습실, 프로그램 제작비를 지원하는 상주단체가 선호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충무아트홀과 같은 경우가 대표적인 예.
결국 그는 문예회관 우수 공연 프로그램을 위한 지원사업 등을 통해 외부적으로 지원하고, 공연단체와 공연장의 기획 능력 제고를 위해 노력할 때 바람직한 모델을 만들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