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전국 최하위권으로 드러났다.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최근 발표한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연구보고서에서다. 그리 달갑지 않은 결과이지만 충격에서 벗어나 이를 실질적인 미래 동력을 찾고 되돌아보는 계기로 이끌어내야 한다. 자치단체에만 맡겨선 자칫 느슨하고 게으르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적인 비교 평가가 가능한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R-COSTⅡ)'를 보면 전북은 전국 16개 시·도중 제주를 제외하고 가장 낮은 15위에 머물렀다. 자원, 활동, 네트워크, 환경, 성과 등 5개 분야에서 31개 지표로 나눠 측정된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에서 과학기술 육성의지와 투자가 미흡하고 그 성과물은 바닥수준으로 조사된 것이다.
자원부문이 8위이고 활동부문은 12위로서 중하위에 그쳤다. 네트워크부문에서는 조사대상 지자체의 평균점수의 2배 이상 낮은 수준으로 14위를 기록하고, 환경부문에서도 12위로 밀려나 자치단체의 흐느적거리는 자세가 엿보여 걱정이다. 특히 구체적인 성과 산출을 파악할 수 있는 성과부문에서 14위로 나타난 것은 연구개발을 통한 수익창출조차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평가나 지표가 다소 의외로 받아들여 질 정도다.
문제는 이번 평가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있다. 이런 상태에서는 지역의 취약한 지역 발전 및 경제산업 활성을 기대할 순 없기 때문이다. 지금 전북은 자동차 부품과 탄소소재, 방사선융합, 태양광·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조선산업 등 민선 4기 신성장동력으로 육성된 대표산업이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민선 5기 들어서도 대부분 계속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판국이다. 껍데기만 갖고는 효과도 분명치 않다.
평가원이 밝힌 것처럼 이번 평가는 지역별 수준을 비교·분석하고 지자체별 강·약점을 진단하는데 잘 활용하길 바란다.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해 과학역량을 R&D에 머물지 않고, 생산 및 비즈니스 기능으로까지 견인하는 노력이 절실하다. 이번 연구는 연구개발 투자방향을 결정하는데 한번 짚고 넘어가는 계기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지만, 앞으로 전북 과학기술 진흥정책은 기술역량을 높이면서 연구 성과 확산 시스템, 투자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전방위적 노력과 연계되어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