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9:47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사설
일반기사

[사설] '찬밥 신세'로 내몰린 새만금 신항만

전북도는 지난 해 말 꿈에 부풀었다. '새만금 신항만'이라는 오랜 숙원이 풀렸기 때문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 유치를 둘러싸고 도내가 온통 침울한 위기감에 휩싸인 가운데 그나마 '새만금 신항만 개발 기본계획'과 그 예정 지역이 고시됨으로써 도민들은 큰 위안을 받았다. 그만큼 새만금 개발에서 신항만이 차지하는 위상은 막대하다. 서울시의 2/3에 해당하는 신천지를 개간하면서 필수 SOC인 항만과 공항이 빠진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 아닌가.

 

새만금 신항만은 우선 2020년까지 1단계로 새만금 산업단지의 물동량 256만t을 처리할 4선석이 조성된다. 이어 2단계로 2030년까지 14선석을 추가해, 모두 18선석 1774만t의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는 국비와 민자를 합쳐 1단계 1조548억 원, 2단계 1조4934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특히 새만금 신항만은 새만금방조제 앞쪽에 인공섬으로 건설, 세계적 미항(美港)으로서 관광·레저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이처럼 기쁜 소식이 불과 한달만에 의구심으로 바뀌고 있다. 정부가 새로운 항만계획에서 부산항과 광양항을 집중 개발하는 투 포트(Two Port)시스템을 고수하고 있어 새만금 신항만이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 있어서다.

 

국토해양부가 최근 확정한 '제2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2011-2020)'이 그것을 말해준다. 이에 따르면 세계 초일류 허브항만을 구축하기 위해 부산신항과 광양항을 동북아 중심항만으로 내세웠다. 동아시아의 경제적 부상과 해운항만 산업의 선진화 등을 감안한 것이다.

 

이에 반해 새만금 신항만은 5+2 광역경제권별로 특화된 권역별 거점항만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정부계획에 따르면 새만금 신항만과 평택·당진은 배후산업 지원, 인천·경인은 물류·에너지, 포항은 철강·기계, 울산은 에너지, 강원·제주는 관광항만으로 특화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전북은 정부가 항만개발 방향을 투 포트 시스템으로 가는 바람에 군산항이 제대로 지원받지 못한 경험을 갖고 있다. 수심 확보를 위한 준설비용이며 배후단지 조성사업에서 제외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점을 익히 알고 있는 전북도는 새만금 신항만이 계획발표와 함께 '찬밥 신세'가 되지 않도록 구체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email protected]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