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효상(2011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건축가)
지난 9월1일 개막된 광주디자인비엔날레가 이번 주말 막을 내리게 된다.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소개하고 담론의 계기를 만들어 그 지평을 넓힘으로써, 디자인비엔날레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보여줬다는 유수한 해외언론들의 찬사가, 그간의 노력에 대한 좋은 위로가 되었다. 여러 전시 중에서도 광주폴리라는 이름으로 광주의 도심에 지은 작은 공공시설물이 이번 비엔날레의 성격을 단연코 부각시켰다고 했다. 이 광주폴리는 금번 디자인비엔날레의 주제인 "도가도비상도-디자인이 디자인이면 디자인이 아니다"와 연관하여, 디자인과 장소의 관계를 설명하는 일환으로 기획된 전시였다. 장소와 연관된 디자인이라면 건축이 대표적일 수밖에 없는데, 작은 시설물을 실제로 완공하고 전시하며 이를 광주폴리라고 했다. 폴리(Folly)는 원래 '다소 우둔하고 우스꽝스러운 것'을 뜻한다. 지난 80년대 중반 버나드츄미가 파리의 라빌레트공원을 설계하여 지은 35개의 시설물을 폴리라고 부른 이후, 건축용어로 자리 잡으면서 간단한 구조물이지만 문화적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의 공공시설물로 알려지게 되었다.
광주는 문화수도라는 이름을 내세우며 문화와 관련된 많은 도시정책을 야심 차게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내가 비엔날레의 총감독직을 맡고 광주를 오가면서 본 도시모습은 이에 걸맞은 게 아니었다. 급조한 듯한 신도심의 풍경과 낙후된 구도심이 어정쩡히 결합된 모습은 우리 땅에 있는 여느 지방도시와 다를 바 없었으니, 치졸하였다. 풍부한 녹지와 유려한 광주천 그리고 언제나처럼 듬직한 무등산이 빚는 자연환경은 특별한 아름다움이며 그 속에서 빚어 온 인문의 역사는 빛나는 것임에도, 파행적 근대화 과정이 만든 불구의 풍경이었던 것이다.
나는 사라진 광주의 읍성에 주목하였다. 광주가 역사도시임을 밝혀주는 광주읍성은 1900년대 초 일제에 의해 도시 확장을 이유로 붕괴되고 말았다. 그러나 사라진 읍성은 도심 내 중요한 도로가 되어 그 존재의 사실이 남아있고, 읍성 안에는 여전한 옛길들이 있었다. 이 광주읍성의 흔적을 밝혀낸다는 것은 역사도시 광주의 복원이며, 원도심과 신도시의 경계를 확인하는 일은 도시발전의 정체성을 찾는 일일 게다. 따라서 우리는 이 2.3킬로미터에 달하는 읍성길을 따라 읍성을 출입하는 문이 있던 자리와 모서리부분 10군데에 광주폴리를 짓기로 하였다. 어느 곳은 작은 공원으로, 어느 곳은 작은 공연장 혹은 전시장, 또는 버스정류장이나 지하철역출입구를 겸하는 기능을 설정하고 세계유수의 건축가들을 초청하였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가들에게 이 작은 시설의 설계가 매력 있을 리가 없다. 보상도 턱없었다. 나는 이들을 찾아가 광주의 민주화 운동의 역사와 그 의미를 설명했고 건축가로서 이런 문화운동에 대한 참여의 의미를 강조하며 참가 동의를 받았다. 그리고 이들의 놀라운 헌신으로 마침내 개막일에 맞춰 완공하기에 이른 것이다. 물론 모두 뜻한 바대로 된 것은 아니다. 여전히 한 곳은 주변의 민원을 풀지 못하여 미완성된 상태로 있다.
그러나 벌써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을 안다. 수없이 많은 이들이 이 폴리를 보기 위해 방문하고 있는 것은 물론, 폴리 주변의 어느 가게는 이들을 맞기 위해 그 업종까지 바꿀 것을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곳곳에서 공연과 집회가 벌어지는가 하면 어떤 곳은 저녁 무렵 주민들이 이 작은 시설에 모여 같이 음식을 나누며 공동체를 확인한다. 이런 움직임은 아마도 증폭하여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마치 수면에 던져진 작은 돌 하나가 파장을 만들며 주변으로 번지듯 이 폴리를 기점으로 주변은 주민 스스로에 의해 새로운 환경으로 바뀌어나갈 가능성이 짙다. 그래서 폴리를 문화적 거점이라고 한다. 더구나 광주시는 앞으로도 매년 광주폴리를 광주 전역에 확대할 것이라고 하였으니, 잘만 되면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근사한 문화적 풍경이 광주에 만들어질 것으로 확신하게 되었다.
도시를 재개발하기 위해 마스터플랜이라는 이름으로 기존의 환경을 싹쓸이하듯 지워 오래된 삶터를 유린하는 일은 이미 서양에서는 폐기된 방법인데도, 유독 우리의 땅에서는 정치권력과 자본권력의 야합으로 이 생소한 풍경 만들기가 성행되어왔다. 그래서 우리는 마치 급조된 시민처럼 급조된 도시환경에서 파편적 삶을 살도록 강요되어 온 것이다. 도무지 지속 가능한 삶일 수 없으며 기억상실을 강요한 천박한 삶일 뿐이었다. 과거에 대한 기억 없이는 어떤 아름다움도 없다고 했다. 지속 가능한 삶이 역사를 기반으로 선다는 것을 알 때, 지금까지 전 국민을 도시의 유목민으로 몰아낸 기존 재개발은 폐기되어야 한다.
물론 광주폴리가 모든 도시문제에 대한 해답일 리 없다. 그러나 부인할 수 없는 소득이 있다. 모든 광주시민이 광주가 역사도시라는 것을 확인하면서 스스로 도심 재생에 나설 조짐이 보인 것이다. 역사를 인식하게 되면 미래가 보이는 법 아닌가.
/ 승효상(2011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건축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