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2. 섬진강 화가 송만규 - 들꽃에 깃든 깨달음의 세계

▲ 화가 송만규

섬진강을 그리기 시작한 건 1992년으로 기억된다. 80년대엔 인권운동을 하며 늘 사람들 틈에서 부대꼈다. 그러다 임실의 진메마을을 그리기 시작했다.

 

시골에 살며 등하굣길에 거의 매일 들꽃을 봐오긴 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풀이름, 꽃이름을 다 잊어버리고 살았단 생각이 들었다. 이산 저산 사이로 굽이굽이 흐르는 물길을 쏘다녔다. 그 산수가 말하는 언어들을 크고 작은 한지 위에 옮겨 놓는 게 첫 작업이었다. 고요한 섬진강에서 처음엔 물의 표면만 보았고, 그 다음엔 물의 깊이가 보였다가, 나중엔 강물 속 힘 센 물살이 보였다. 자연이 주는 깨달음 같은 것이었다.

 

어느 날, 좁은 마당에서 시선을 잡아두는 게 있었다. 작업실의 화장실 모퉁이에서다. 몇 년인가를 무심히 지나쳤던 닭의 장풀이었다. 쪼그리고 앉아서 얼마 동안을 바라봤는지 다리가 결려서 되돌아왔다. 섬진강변에 그 많은 들꽃들이 얼마나 외면당하고 짓밟히고 있었는지. 심지어 국책사업이라면서 대형 기계를 동원해 까부수고 파헤치면서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작은 것에 대한 가치와 아름다움을 재발견하면서 들꽃을 찾아 나섰다.

 

아무렇게나 피어난 듯 보이는 들꽃을 보면 볼수록 그 속엔 아름다움이 숨어 있었다. 복수초와 민들레, 닭의 장풀, 가시연꽃 등을 발로 지근지근 밟고 다닐 때는 몰랐는데, 자세히 들여다 보면 참 예뻤다. 소외된 자들과 들꽃은 어쩜 그리 비슷한지, 사람살이와 아주 닮았다. 사물을 바라보는 작가의 마음자세와 시선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 하는 걸 새로 배우게 됐다.

 

얼마 전부터 다시 시작한 동양철학 공부로 인해 삶의 의미도 더 고민하게 됐다. 통치하고 다스림이 없는, 평등하면서도 자유로운 자연의 이치에 더 고개를 숙이게 되는 이유다.

 

▲ △ 물매화

 

▲ △ 현호색

△ 송만규 개인전'섬진강, 들꽃으로 피어나다' = 2월6일까지 광주 갤러리 생각상자. 동양화가 송만규씨는 완주 출생으로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의장, 전국민족미술인협의회 중앙위원,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전북지회장 등을 지냈다. 2002년부터 섬진강이 내려다 보이는 순창군 동계면 구미리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내란의 밤, 탄핵의 밤

오피니언법의 현장에서 보이는 모습들

포토전주시 기독교연합회, "尹 즉각 하야하라!"

전북현대전북현대·신협, 2024 사랑의 김장김치 나눔 봉사

문화일반전북시인협회, 제25회 전북시인상 시상식 및 제1회 신인상 시상식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