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9:58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주대사습, 기로에 서다
일반기사

4. 심사 공정성 확보 - 국악인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역대 장원 심사 참여…영향력 확대 멍석 깔아주는 꼴…차별화된 경쟁력 위해 대사습보존회 자성 요구 많아

 

"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는 소리꾼들의 이익을 위해 심사위원회를 구성해왔습니다. 참가자 중 자신에게 배운 사람이 아니라면, 아예 쳐다보지도 않습니다."

 

한 판소리 연구가는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이하 전주대사습) 현주소를 이렇게 지적했다. 비교적 공정한 심사를 진행해왔다는 평가를 받는 전주대사습도 국악인들의 '입김'에서 전혀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진단이다.

 

예산이 적은 데다 대통령상이 수여되는 대회가 30곳이 넘는다고 볼 때 전주대사습 위상을 곧추세울 수 있는 길은 심사의 공정성부터 확보하는 일이라는 데 이견은 없어 보인다.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가 경연대회 대통령상 수여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잣대로 심사의 공정성 확보를 제시하고 있다.

 

대사습보존회는 1983년부터 2005년까지 대회 2주 전 심사위원 1차 명단을 선정한 뒤 전주MBC와 협의한 뒤 대회 10개 부문 심사위원(각 부문 7명)을 확정해왔다. 이전에 역대 대사습 장원을 추측하는 소문이 나돌았던 것은 대회가 열리기 전부터 심사위원 명단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참가자들이 어떤 심사위원이 참여하는지에 따라 예선 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었던 것. 대부분 대회가 참가자 접수를 마무리한 뒤 심사위원들을 위촉하는 방식과는 대조됐다.

 

제15회 대사습부터는 역대 장원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면서 이들의 영향력이 강화됐다. 이전에는 대사습을 부활시킨 이들이 중심으로 심사에 참여했다면, 이후에는 소리꾼들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게 되는 국악인 위주로 심사위원이 구성된 셈이다.

 

"나도 심사를 해봤지만 누구에게 상을 주자는 얘기를 해본 적은 없어요. 다만 실력있는 참가자를 추천해달라고 한 적은 있습니다."

 

한 심사위원은 일부 명창들이 자기 제자를 명창으로 키우는 게 자신의 영향력도 키우고 수입에도 도움이 될 수 있어 지나치게 심사에 관여하려는 자세가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같은 논란으로 대사습보존회·MBC는 공신력을 갖춘 심사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 1985년 김영자 명창은 판소리 몇 대목만 불러 예·본선에 진출하는 참가자들을 걸러내기 위해 제비뽑기를 제안·수락됐고, MBC는 1998년 컴퓨터 채점에 이어 2006년부터 심사회피제도를 도입했다. 심사회피제는 대회 출전자의 스승·8촌 이내 친인척이 심사위원에 참여할 경우 심사회피를 신청하는 제도. 또한 문화체육관광부가 '투명한 경연대회를 위한 심사 운영 지침'을 제시하면서 전국 대회에 공정성 확보를 주문하고 있으나 지침이 구체적이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생중계 위주의 대회를 운영한다고 비난받기도 했던 전주MBC가 심사에 관한 대사습보존회 영향력을 제한하는 데 노력하는 이유다. 그 결과 전주MBC는 대사습보존회에 문화재 1명, 대사습 장원 1명, 학계 1명 등으로 심사위원(총 7명) 구성을 요구하면서 대립각을 세우곤 했다.

 

전주MBC는 "전국 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았거나 명망있는 분들을 모시려 하는데, 보존회가 받아들이지 않을 때가 많다"고 반발하고, 대사습보존회는 "방송사가 추천하는 교수들은 판소리를 잘 모른다"면서 비난하는 식이다.

 

그러나 대사습 장원이면서 문화재로 지정된 이들도 많기 때문에 실기인들 위주로 심사위원들을 구성할 수밖에 없다. 결국 전통과 자부심을 내세운 전주대사습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려면, 심사의 공정성 논란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사습보존회가 자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