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23:57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19. 연수전하기 - 130년전 판소리 경연 그림처럼 볼 수 있는 사료

전라감사 연희 모습 기록…조선후기 명창들 행보·대우 상세히 기록

종판소리가 이 땅에 뿌리내리기 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천민에서 시작해 대중적인 지지도를 얻었지만 초창기의 판소리는 천대받고 무시를 당했던 음악이었다. 그러나 판소리는 세계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될 만큼 한국을 넘어 세계가 인정하는 명품 음악이 됐다.

 

판소리를 전승했던 당대 명창들의 기록은 구전에 그치고 일부 확대되거나 재생산되어 오늘날에도 많은 오류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조선후기 연수전하기라는 명창들의 행보와 대우 등이 뚜렷하게 기록돼 있다.

 

연수전하기는 1886년 9월 전주 감영에서 전라도 감사 윤영신의 아들이 문과에 합격한 것을 축하하는 잔치가 열렸던 모습을 기록한 고문헌이다. 이 연희에서는 외부에서 연행자들을 초빙한 것이 나타난다. 이들은 크게 네 범부로 구분되는데, 먼저 창부 이날치와 장재백, 김세종인데 이들에게는 성명과 지불한 금액을 각기 따로 기재하였다.

 

두 번째는 한양에서 온 경창동 2명으로 성명없이 기록하고 있다. 세 번째는 향창부 4명으로서 이들 역시 성명없이 단지 4명만 초대되어 지불한 금액만 기재해 놓았다, 마지막으로 한양에서 파견된 악공들도 소개되었는데, 이들은 고종이 관찰사인 윤영신의 아들이 문과에 합격한 것을 축하하여 보내준 장악원의 악공들로써 문과 합격자들에 대한 일종의 관례였다.

 

이 내용에서 악공의 수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들에게 말을 빌리는데 들어간 144량을 지급했다. 그 외에 이들에게는 특별히 '행하(行下)'라는 명목 아래 따로 1천량을 지급한 사실을 항목을 달리해 기록했다. 행하는 경사가 있을 때 주거나, 위로하기 위해 내리는 금품, 그리고 품삯 이외에 주는 금품을 일컫는데, 통상 놀이 등이 끝난 뒤 기생이나 광대에게 준 보수 등도 포함된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창부 중 이날치, 장재백, 김세종 등이 모두가 지방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지급 금액을 달리 명기한 것은 당대 최고의 명창에 대한 예우로 생각되고 이들의 명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이날치 50냥, 장재백 50냥에 비해 김세종은 두배나 많은 100냥의 이른바 개런티를 받은 것은 지금의 한류처럼 유명가수에게 더 지불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앞에서 밝힌 것처럼 명창과 동창 등 9명이 초대된 이 연희는 통상 각 읍치의 관아에서 판소리를 연행하는 것과 달리 대규모 연행모습이다. 이는 다수의 창자를 초청해 창자들의 자연스러운 경연 형식을 취했다는 점에서 오늘날 대사습의 경연과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다.

 

실제로 창자들의 전기에는 다수가 참여하는 감영 등지의 연행에서 이들 사이의 경쟁이 주요 일화로 소개되고 있다. 여기에 고수까지 동반했다면 그 규모는 훨씬 커졌을 것이다. 130여년 전의 전라감영에서 전개되었던 판소리 경연대회를 그림처럼 볼 수 있는 사료다.

 

/전북도문화재전문위원·한별고 교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