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2 00:47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도내 작은도서관 현황…전체 읍면동 33% 80곳 갖춰

주민자치 운영·프로그램 활성화 등 과제

1990년대 중반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펼쳐진 '작은도서관 만들기운동'이 2004년 정부의 정책과제로 채택되면서 작은도서관이 지역문화시설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게 됐다. 특히 문화시설이 부족한 농촌 마을이 많은 전북의 경우 지역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기대가 더 커지고 있다.

 

정부가 2023년까지 읍면동별 1개소(3560개)를 만들 계획인 가운데 전북은 2011년까지 80개를 확보했다. 이같은 확보율은 전북의 241개 읍면동중 33%에 이른다. 여기에 도의 계획 대로 매년 20여개씩 추가할 경우 정부 계획보다 훨씬 앞당겨 2020년 내에 도내 모든 읍면동에 작은도서관이 만들어질 전망이다. 중앙 사업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치단체 차원의 적극적인 의지와 관심이 반영된 것이다.

 

실제 지금까지 설립된 작은도서관의 경우 절반 가까이(32개)가 중앙사업으로 추진됐으나, 올 추가로 계획한 23개소중 5개만 중앙사업이며, 나머지 18개는 자치단체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전북도는 도서관 설립에 필요한 리모델링비와 기본 시설비를 지원하고, 기존 도서관에 대해 연간 1340만원(도서 500만원, 인건비 600만원, 관리비 120만원, 프로그램비12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또 올해부터 운영평가를 통해 최대 300만원의 인센티브를 준다.

 

그러나 작은도서관이 주민들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전북도가 현재 운영중인 80개 작은도서관 실태를 조사한 결과 시설규모 평균 187㎡, 장서보유 평균 7335권, 상근인력 총 8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한해 작은도서관 이용자는 총 116만명(월평균 1412명)이었으며, 그중 어린이가 60%를 차지했다.

 

올 도서관에서 계획하거나 운영중인 프로그램 강좌 수는 평균 5.5개며, 1강좌당 1~4회 정도의였다. 강좌는 어린이 대상 45%, 성인 39%, 청소년 14%,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2% 순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운영자의 인건비 현실화 △프로그램 활성화 △재능기부 활성화 △개방시간 확대 등이 쟁점으로 논의되고 있다. 현재 도내 작은도서관의 24개소가 시군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 절반씩은 사회단체에서 위탁 운영하거나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상황이다. 직영의 경우 문제가 없으나 주민자치 혹은 위탁의 경우 인건비가 50~100만원 수준이어서 전업 일자리로서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도서관 개방시간 역시 대부분 오후 6시까지로 한정돼 직장인 등의 이용에 한계가 있다.

 

도서관의 문화적 기능확대와 지역사회 커뮤니티 기능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활성화에 대한 고민 또한 필요한 대목이다. 단순한 독서공간이 아닌,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적절히 공급하고 잘 활용할 수 있을 때 작은도서관이 본연의 취지를 살릴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치단체 차원의 재정지원에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재능기부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전체적인 사회 분위기는 미흡한 상황이어서 재능기부를 끌어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전북도는 이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재 10명의 전문가로 TF팀을 구성, 머리를 맞대고 있다. 도 이정형 주무관은 "시설은 정부나 자치단체에서 담당하고, 운영은 주민자치로 이루어지는 게 바람직하지만 주민 운영이 그리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면서, "TF팀 연구를 통해 가장 큰 난제인 도서관 운영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