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마이스산업 인프라 확충 방관하지 말라

마이스산업(MICE)이 황금알을 낳는 이벤트로 인식되면서 각국이 마이스 행사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도 마찬가지다.

 

MICE는 기업회의(Meeting), 부가가치 창출(Incentive), 국제회의(Conference), 전시사업(Exhibition)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의 첫머리를 딴 것이다. 1990년대 후반 홍콩 싱가포르 등 동남아국가가 컨벤션 사업을 계기로 경제 도약의 전기를 맞이하면서 관심이 높아졌다.

 

이를테면 자치단체가 대규모 국제회의를 유치하면 국내·외 관광객들이 몰리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숙박과 먹거리 관광 등 지역 소비시장이 활황을 띠고 도시기반 시설 및 교통시설을 확충하는 계기도 된다. 지역의 이미지를 높이는 효과도 있다.

 

그런데 전북의 국제회의 유치 실적이 신통치 않은 모양이다. 한국관광공사가 집계한 시·도별 국제회의 개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적으로 국제회의가 1330건 개최됐지만 전북에서는 2건에 불과했다. 비율로는 0.15% 수준이다. 인근 지역인 광주 44건, 전남 7건에 비해 크게 뒤처졌고 같은 도 단위인 강원 10건, 경남 8건, 경북 5건에 비해서도 형편 없이 적다.

 

한국관광공사는 지난해 1330개의 국제회의를 개최해 생산유발효과 3조8831억원, 고용유발효과 4만2316명, 소득유발효과 6969억원의 효과를 가져왔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2건 밖에 국제회의를 개최하지 못한 전북은 생산·고용·소득 면에서 거의 효과를 얻지 못했다는 얘기다.

 

전북도는 올해 아태재생에너지국제포럼, 2014한국잼버리 및 국제패트롤, 글로벌힐빙농식품산업국제포럼, 2015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제13차 풍력에너지컨퍼런스, 제9차 풍력엔지니어링아태총회 등 6개 국제회의(행사)를 유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국제회의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교통과 숙박, 컨벤션시설 등 인프라가 구축돼야 가능하다. 접근성 등 지리적 여건도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전북은 이러한 인프라가 취약하고 접근성도 떨어진다. 취약한 여건에서 무작정 왜 국제회의를 유치하지 못하느냐고 다그쳐서도 안되지만 그렇다고 수수방관해서도 안될 일이다.

 

문제라면 이미 오래전 제기된 취약한 인프라 문제를 왜 지금까지 해소하지 못하고 있느냐에 있다 할 것이다. 국제회의를 비롯한 마이스산업 수요는 향후 더 늘어날 것이다. 미리 이에 대비하는 게 전북도나 각 시군이 해야 할 일이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연말 정국 혼란⋯"전북 예산 감액 우려"

국회·정당자치단체 에너지분권 경쟁 '과열'⋯전북도 움직임 '미미'

정치일반전북-강원, 상생협력 강화…“특별자치도 성공 함께 만든다”

정치일반새만금, 아시아 관광·MICE 중심지로 도약한다

자치·의회전북특별자치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북자치도 및 도교육청 예산안 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