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이 터진 뒤 임실 산골마을을 배경으로 한 '어매 아리랑'은 아들에 관한 모정(母情)을 불러낸 신파극에 가까웠다. 바느질 일을 하러 온 봉산댁(최현주 역)이 사는 유일한 이유는 잃어버린 아들(송재영 역) 때문이다. 봉산댁을 안쓰러워하는 최부자(이충헌 역)와 이를 시기해 음모를 꾸미는 영천댁(김세미 역)·며느리(배옥진 역)의 계략이 맞아떨어지면서 극은 봉산댁을 연민해 눈물에 호소하는 쪽으로 나아갔다.
뻔하고 통속적인 전개라는 생각이 들 무렵 어린 시절을 까맣게 잊은 아들 서희도가 몸 담고 있는 파랑새악극단의 가수로 노래하는 장면이 나온다. 선글래스를 끼고 화려한 연미복을 입은 송재영 단장은 만면 미소를 가득 머금고 개선장군처럼 입장했다. '꽃잎이 한잎 두잎 바람에 떨어지고'로 시작되는 대중가요'조약돌'로 환호를 유도하자, 2000여 석이 넘는 관람객들이 몸을 앞뒤로 흔들어댔다. 이후에도 송 단장은 '누가 이 사람을' 등을 부르면서 악극단의 가수로 곳곳에 등장해 시대의 향수를 자극하는 쪽으로 전진했다. 판소리 명창이 아니라 트로트 가수가 아닌가 할 정도로 천연덕스럽게 노래할 때와는 달리 연기할 때는 어쩐지 어색했고, 악극 장면이 자주 등장해 파격이 오히려 산만함에 묻히는 인상을 받았다. 이를 두고 김일구 명창은 "도립창극단이 아니라 도립악극단 같았다. 송재영 단장의 리사이틀 공연이지 온전한 창극으로 보기는 힘들지 않느냐"고 쓴소리를 하기도 했다.
반면 최현주는 엄마의 정서, 슬픔의 음표들을 놓치지 않았다. 영천댁과 봉산댁의 오빠 갑수(고양곤 역)의 몰입과 연기도 자연스러웠다. 죽은 줄 알았던 아들을 되찾아 '따순밥'이라도 먹이고 싶은 봉산댁이 결국 숨을 거둘 때 참았던 울음의 둑이 무너지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렸다. 그들도 누군가의 아들·딸이고, 또 누군가의 엄마이지 않았을까.
그럼에도 소리꾼 출신으로 '변사또 전문 배우'로 활약한 '주호종표의 걸쭉한 창극'을 기대했던 이들에게는 다소 아쉬움을 남겼을 법한 공연. 극을 풀어가는 방식이 상투적이어서. 긴장감을 줬다가 푸는 연극적 장치를 고려해 극을 더 매만질 필요가 있다는 조언도 나왔다.
정초왕 전북대 교수는 "대중적인 면에서 흥할 수도, 예술적인 면에서는 망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했지만, 관객들은 눈물에 저항하기는 보다는 눈물의 합창에 참여하는 쪽에 가까웠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