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1일부터 도로명 주소가 전면 도입된다. 하지만 전북도민들은 아직 혼란스럽다.
가장 많이 지적되는 문제는 바로 ‘도로명 주소가 매겨지는 원리를 잘 모르겠다’는 것.
대학생 김모씨(25)는 “도로 이름에 어떤 규칙이 있는 것도 아닌 것 같아 혼란스럽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경기도 남양주시는 샛길의 이름을 붙일 때 건물번호를 매기는 방식과 동일한 ‘기초번호 방식’을 적용하지만, 전주시는 갈림길이 나올 때마다 길 번호를 붙이는 ‘서수식’을 사용한다.
이는 ‘도로 이름이 익숙하지 않다’는 문제와 맞물려 도민들의 혼란을 부추기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안전행정부 관계자는 “도로를 규모에 따라 8차선 이상은 대로, 2차선 이상 7차선 이하는 로, 그보다 작은 것은 길로 구분해 이름을 붙인다”며 “대로와 로는 20m, 길은 10m 간격으로 도로 시작점부터 순서대로 건물번호를 표기한다”며 원리를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샛길의 이름을 붙이는 방식과 같은 세세한 부분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율적으로 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도로명 주소 체계에서 동, 리의 이름이 사라지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전주의제21 엄성복 사무국장은 “동 이름이 기재되지 않으면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이나 소속감이 약해질 것”이라며 “또 사람들이 길 이름에 익숙하지 않아 위치를 연상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전주시민들은 ‘덕진동’의 위치는 쉽게 떠올리지만, ‘권삼득로’는 생소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도로명 주소의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엄성복 사무국장은 “사람들이 도로 이름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과도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며 “도로명 주소 체계에 동 이름을 같이 쓰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북대 도시공학과 채병선 교수도 “실제 행정이 이루어지는 단위인 동 이름을 주소에서 빼는 것은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며 “일본도 도로명 주소를 사용하지만 마을 이름을 주소에 병기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청 관계자는 “필요한 경우 괄호를 치고 동 이름을 넣으면 된다”며 “도로명을 결정할 때 최대한 법정동명과 자연촌락의 이름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동 이름이 맨 뒤로 옮겨져 ‘부가 정보’가 되고, 또 생략할 수 있게 돼있다는 점에서 당분간 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또 지자체마다 도로명 주소 부여 방식이 다른 문제에 대해서는 뚜렷한 해결책이 없다.
전주시청 관계자는 “지역적인 특성을 감안해야 한다”며 “완전히 자율적으로 결정한 것은 아니고, 몇 가지 원칙이 있기 때문에 혼란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채병선 교수는 “주소도 하나의 문화”라며 “정착되는 데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몇 년 정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끝〉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