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 대규모 회의나 관광객을 수용할 인프라가 취약하다. 많은 인원이 참가하는 대규모 회의를 개최하려 해도 컨벤션 시설과 호텔 등이 부족해 엄두를 내지 못한다.
지난 2012년 국내에서는 1330개의 국제회의가 열렸지만 전북에서 개최된 회의는 단 2건에 불과했다. 2007년 세계한상대회와 아셈 차관회의도 전북이 유치하려 했지만 무산됐다. 시설 부족 때문이다.
국제회의 1330개가 개최됐을 당시 생산유발 효과 3조8831억 원, 고용유발 효과 4만2316명, 소득유발 효과 6969억 원이 발생했다. 전북은 맛도 보지 못하고 이 효과를 모두 다른 지역에 내주었다.
회의, 보상관광, 컨벤션, 전시 등의 이른바 마이스(MICE=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ibition) 산업은 신시장과 일자리 창출, 항공 숙박 관광 등 연관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커 자치단체마다 유치에 열을 올린다.
그런데 전북은 이에 대한 대비가 너무 느슨하다. 전북도와 전주시가 ‘기부 대 양여’ 조건으로 컨벤션과 호텔이 들어설 수 있도록 전주 종합경기장 부지를 개발할 계획을 세웠지만 찬반 양론이 맞서면서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예상되는 수요를 감안하면 대규모 회의나 관광· 숙박시설 인프라는 시급히 확충돼야 할 현안이다. 전북혁신도시에 이전할 공공기관과 관련된 대규모 회의와 전시, 숙박 수요가 발생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 등 농업기관의 경우에만 연간 190여회의 국내 또는 국제회의가 열리고, 국내·외에서 연간 5만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을 예정이라고 한다.
또 새만금개발이 본격화되면서 방조제를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이 잇따르고 있다. 산업단지에 도레이·솔베이 등 대규모 업체가 들어오면서 회의와 숙박 수요 역시 증가할 전망이다.
이런 여건을 감안하면 컨벤션시설, 호텔 인프라 확충은 더이상 미룰 일이 아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컨벤션시설이 없는 지역은 전북과 충북, 강원 등 3곳뿐이다. 창피할 노릇이다.
정치인들이 문제다. 지방선거를 앞둔 정치인들이 포퓰리즘적 행태에 매몰돼 있다. 한 지역을 책임지겠다고 나선 정치인들이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하고 일부 표를 의식한 근시안적 사고에 매달린다면 배척돼야 마땅하다.
전주시민(1859명) 대상 설문조사에서 ‘100만 대도시’ 조건으로 컨벤션센터와 호텔건립을 으뜸으로 꼽은 사실을 정치인들은 간과해선 안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