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제세력 연대 가능성 일단 닫아…與 어부지리 얻나 / 선거 닥쳐 위기감 오면 '제한적 연대' 가능성은 남아
민주당과 정의당, 무소속 안철수의원 등 야권내 정치세력이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일단 '각자도생' 모드에 들어가 면서 그간 의존해온 '선거연대'의 틀이 깨질지 주목된다.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 전국 차원의 첫 실험에 나서 성공을 거둔 이래 야권이 '전가의 보도'처럼 꺼내들었던 선거 연대가 4년만에 칼집에 들어갈 운명에 처하게 된 셈이다.
여기에는 이질적 정치집단간 '묻지마식연대'에 따른 국민적 피로도와 함께 종북논란에 휩싸인 통합진보당과의 연대 후유증에 대한 야권 내부의 자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더욱이 '안철수 신당'의 가시화로 야권의 주도권을 둘러싼 민주당과 신당의 쟁탈전이 불가피해지면서 협력과 연대에 방점을 두기는 어려운 환경이 조성돼 있다.
그러나 야권의 텃밭으로, '민주당 대 신당'의 양자대결이 예고된 호남과 달리 민심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수도권의 경우 야권 분화가 새누리당에게 '어부지리'만안길 수 있다는 현실인식에 따라 야권의 셈법이 복잡하게 전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벌써부터 야권 안팎에서 수도권 광역단체장 선거를 놓고 고차 방정식 게임이 진행될 조짐이 보이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무엇보다 지방선거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서울시장 선거에서 안철수 신당이 예고한대로 독자후보를 낼지가 야권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재선 출마를 이미 공언한 민주당 박원순 서울시장측은 10일 "지금은 야권의 각 세력이 정체성을 확실히 하며 '자강'해 가는 단계로, 더이상 언급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을 아꼈지만, 새누리당과 민주당, 신당간 3자 대결구도가 현실화 된다면 민주당과 박 시장측으로서도 비상이 걸릴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
야권 일각에서는 지난 2011년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안 의원이 박 시장에게 후보직을 양보했던 양측의 특수관계를 감안할 때 안 의원측이 서울시장 후보를 고수하기 보다는 경기지사 선거에 '올인'할 가능성도 고개를 들고 있지만, 이 경우에도 역시 상황은 녹록지 않아 보인다.
민주당이 안 의원이 출마했던 지난해 4·24 노원병 보궐선거 때처럼 '무(無)공천' 등 단일화를 통해 양보하기란 쉽지 않은 탓이다.
당장 민주당내 대표적 경기지사 주자인 김진표, 원혜영 의원도 '정치공학적 단일화'에 대해서는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 의원은 "정치공학적 단일화는 국민에게 감동을 줄수 없고 성공하기도 어렵다"고 했고, 원 의원도 "무조건적 연대에 대한 당위적 전제는 더이상 타당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러한 기류의 저변에는 2010년 지방선거 당시 국민참여당 소속이었던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김 의원을 누르고 야권 단일후보로 나섰지만 본선에서 패배했던 '트라우마'도 깔려 있어 보인다.
그러나 야권으로선 박빙의 표차로 승패가 갈리는 수도권에서 독자생존만을 고집할 경우 야권 분열 내지 분화에 따른 '필패'로 귀결될 수 있다는 점이 딜레마이다.
같은 이유에서 수도권 지역의 기초단체장을 노리는 인사들 사이에서도 '고심'이 깊어지는 분위기이다.
여기에 기초단체장의 경우 정당공천제 폐지 여부도 경쟁 양상의 변수가 될 수 있는 상황이다.
결국 제한적이나마 야권 연대 내지 단일화가 이뤄질지 여부는 여론의 추이에 그향배가 달려있다는 게 야권 안팎의 대체적 관측이다.
박근혜정부 심판론 내지 견제론이 탄력을 받는다면 야권이 막판에 연대 내지 단일화에 내몰릴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판세가 전체적으로 새누리당에 기운다는 판단이 설 경우, 불가피하게 선거연대의 틀에 다시 갇히게 될 공산이 커 보인다.
존재감 부각에 나선 정의당의 '완주' 여부도 이러한 여론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