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분은 양력 3월 21일경으로 경칩과 청명 사이에 들며, 24절기 가운데 네 번째 절기다. 올해도 21일이 춘분이다.
우주 태양의 황경(黃經)이 0°로서 겨우내 밤보다 짧았던 낮의 길이가 이때를 기점으로 점점 길어져서 낮과 밤의 길이가 비슷하게 되는 때다.
겨울 추위에서 벗어난 우주 만물들은 생기 있고 활발하게 움직이기 시작하는 때다. 기온도 눈에 띄게 높아져서 그야말로 완연한 봄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춘분 즈음이 되면 기온이 큰 폭으로 올라서 농사일을 하에 매우 좋은 때다. “2월은 천하의 만민이 모두 농사를 시작하는 달이다.”라는 옛말이 있듯이, 이 때쯤이면 모든 농가의 일손이 바쁘게 움직이기 시작 한다.
일 년 중 춘분에서부터 약 20여 일 간은 기온상승이 가장 큰 때이다. 이때는 춥지도 덥지도 않고, 따뜻해지는 시기로 농부들이 일하기에 가장 좋은 절기다. 또한 사람들이 살아가기에도 아주 좋은 때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봄에 만약 밭갈이를 하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바가 없다. 춘약불경 추무소망이(春若不耕 秋無所望)”이라고 했듯이 동양에서는 춘분날을 ‘농경일(農耕日)’로 삼고 씨앗을 뿌렸으며 이때는 이웃끼리 씨앗을 바꾸어 뿌리기도 했다.
그러나 이 무렵에는 아직 찬바람이 많이 불기도 한다. 이를 가리켜 꽃샘추위라고 부른다. 꽃샘추위의 매서움은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 꽃샘추위에 설 늙은 이 얼어 죽는다’ 와 같은 속담에도 잘 나타나 있다. 꽃샘추위는 풍신(風神)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하기 때문이라 한다. 그래서 ‘꽃샘’이라고 한다. 한편 이때에는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고 먼 길 가는 배도 특히 조심해야 한다.
옛 세시 풍속에는 춘분 무렵, 특히 음력 2월 1일은 여러 가지로 치르는 풍속이 많이 있다.
이 날은 영등 할머니(할만네)가 하늘에서 내려오는 날이라 한다, 이 할머니는 2월 1일에 세상에 내려와 두루 민가를 시찰하고, 20일 에 하늘로 올라가서 세상에서 있었던 여러 가지 일들을 하느님께 아뢴다고 한다. 또한 이 날 비가 내리면 풍년이 든다고 했다.
2월1일은 농가에서는 ‘머슴날(奴婢日)’이라고 한다. 가을 추수가 끝난 뒤 오랫동안 쉬던 머슴들이 이제 2월이 되면 농사일을 준비해야 하므로 농사에 가장 주요한 구실을 하는 머슴을 위로한다. 그들로 하여금 즐겁게 쉬도록 하며 주인은 술과 안주 여러 가지 음식을 장만하여 머슴을 배불리 대접한다. 이 때 머슴들은 동네 풍물로 하루 동안 흥겹게 놀며 큰 잔치를 벌인다.
2월1일은 또 대청소를 한다. 2월 초가 되면 노래기가 나오기 시작하므로, 방에 까지 기어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부적을 만들어 붙인다. 백지에 ‘향랑각씨 천리속거’라고 써서 기둥이나 벽, 서까래에 거꾸로 붙인다. 노래기를 빨리 천리만큼 먼 곳으로 물리치는 방법이리라! 또한 솔가지를 꺾어 지붕 위에 꽂기도 하고 솔잎을 따서 문 앞이나 뜰에 뿌려 벌레를 퇴치하는 풍습을 행하기도 했다.
2월 초 하루 날은 ‘나이 떡’을 해먹는 날이다. 온 식구의 나이대로 숟가락으로 쌀을 떠서 떡을 만든다. 식구들 나이대로 합한 쌀로 적은 송편을 빚어 그 나이에 맞게 먹는다. 이것을 세병(歲餠) 또는 수복병(壽福餠)이라고도 하며, 이렇게 하면 그 해 온 집안이 무병하고 만사가 형통한다고 여겼다.
이 날은 또 집집마다 콩을 볶아 먹는 날이다. 콩을 볶을 때 주걱으로 저으면서 “달달 볶아라 콩도, 세알도, 쥐 알도 볶아라. 달달 볶아라” 하면서 볶은 콩을 먹으면 새와 쥐가 없어져서 곡식을 축내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이들은 이 콩 볶는 날을 은근히 기다렸던 것이리라….
예부터 춘분 기간에는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고, 우렛소리가 들리며, 기온이 상승하는 절기, 꽃샘추위의 절기 그야말로 춘분점(春分點)이란 말이 딱 맞는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