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21:28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⑨ 영화가 창출하는 신규 문화시장] 탄탄한 스토리, 관련 제품 수익 이어져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을 맞아 여러 편의 블록버스트급 영화들이 개봉하고 있다. 180억의 제작비가 투입되었다는 ‘암살’은 개봉7일만에 누적관객 400만명을 돌파했다고 한다. 한국인의 인구를 생각해보면 대단한 숫자이며 대단한 파급이 아닐 수 없다. 1000만의 관객돌파가 된다는 것은 인구의 1/4을 모아놓고 항일운동의 새로운 역사를 2시간 만에 교육시킨 결과가 되지 않을까?. 영화만큼 우리의 정신문화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도 많지 않을 것이다. 과거 히틀러와 같은 독재자들이 영화광이었다는 사실은 새삼스럽지가 않다. 북한의 지도자들도 영화에 대한 집착이 강했다. 이는 자신의 통치이념에 맞는 정신문화 즉 분위기를 조성하는 수단으로 영화만큼 효과적인 것도 드물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영화에는 스토리가 있다. 그 스토리 속에는 기승전결, 즉 시작이 있고 결과가 있다. 그 시작의 단초는 항상 가까운 현실에서 찾게 된다. 간혹 현실세계와 동떨어진 소재로 진행되는 영화도 있지만 흥행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스토리전개가 탁월한 미국할리우드의 블랙버스터급 영화를 보면 단순한 영화이상의 많은 첨단정보가 스토리로 담겨있다. 블록버스터급 영화란 영화계에서 막대한 흥행수입을 올린 영화를 일컫는 말이다. 때에 따라서는 제작비규모가 크고 유명배우가 출연하는 영화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연 1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린 영화를 가리켜 블록버스터급 영화라고 말한다. 이 기준으로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1000만명이 관람했을 경우 블록버스트급영화로 분류될 수 있다.

 

블록버스터급 영화들은 SF영화나 특수효과가 뛰어난 액션영화 등으로 여름방학 등의 흥행시즌에 개봉하며, 성공작일 경우 속편이 뒤따르는 공통점을 지닌다. 1950년대 중반부터 1960년대에 걸친 급속한 텔레비전의 보급으로 궁지에 몰린 할리우드 영화사들은 대규모 자본투자와 신속한 회수를 원칙으로 하는 새로운 제작시스템을 도입한다. 이것은 소수의 영화에 집중 투자하여 세계 주요 도시에 동시 배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영화와 함께 의상, 장난감, 책 등을 통한 새로운 시장 개척을 수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공작일 경우에는 속편이 뒤따르면서 형성된 문화를 오랫동안 유지하려는 노력이 수반되는 것도 공통적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도에 당시로서는 막대한 금액인 24억의 제작비를 들여 제작한 쉬리가 흥행성공을 하면서 본격적인 블록버스터급 영화가 나오기 시작했다. 2007년 심형래감독이 야심차게 만들었던 “디워”는 본격적인 블록버스터를 목표로 순수영화제작비 300억원을 들여 제작하였고 부수적인 관련산업을 위한 개발비까지 포함해 총 700억원이 투입되었다. 영화를 통한 신규시장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함께 준비된 최초의 한국영화가 되었다. 당시 제작사였던 영구프로덕션에서는 많은 디자이너를 고용해 여러 가지 기념품, 장난감 등의 관련제품을 준비하였고 영화를 그대로 옮긴 만화책도 동시에 출판되었다. 결과적으로는 영화를 만든 기술은 가히 세계적인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영화흥행은 스토리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실패를 하고 말았다. 허구의 소재를 기반으로 스토리를 전개한 것이 실패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용이 되기 위한 악한 이무기와 이를 막기 위한 삼총사의 모험이야기로 스토리의 전개가 화려한 CG등의 촬영기술에 비해 관객에게 감동을 주지 못한 것이었다.

 

우리가 많은 것을 준비하고 개발한다 해도 담겨있는 스토리가 소비자에게 감동을 주지 못할 경우에는 실패하게 된다는 사례가 되었다. 반면에 스토리가 관객에게 감동을 줄때 파급되는 새로운 수요의 창출을 막대하다. 천만의 누적 관람관객을 눈앞에 둔 새로운 영화 ‘암살’. 영화의 제작과 함께 준비한 새로운 산업의 창출을 위해 무엇을 준비했을지 궁금하다. 1977년 발표한 초기의 블랙버스터급영화 “스타워즈”의 장난감들이 아직도 심심치 않게 보이는 것은 영화의 흥행만의 결과가 아니라 영화를 소재로 한 제품의 꾸준한 개발과 출시로 있을 것이다. 영화에서 얻는 직접적인 수익은 끊겼지만 관련제품에서 얻는 수익은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문화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전주대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