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선택·전개 과정 불명확한 서술 30건 / 전문가들 "역사적 의미 퇴색 막아야" 지적
현행 역사교과서에 실린 동학농민혁명 관련 내용 가운데 상당수에서 오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바로잡지 않을 경우,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서술 비중이 축소되거나 후퇴를 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일 김양식 충북발전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이 현행 초·중·고 역사교과서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동학농민혁명 관련 서술 가운데 모두 30건의 오류가 발견됐다.
가장 큰 문제는 대부분의 역사교과서가 ‘동학농민혁명’을 ‘동학농민운동’으로 표기한 점이다. 이는 교육부의 한국사 집필지침에 따른 것이지만, 지난 2004년 동학농민혁명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정부 차원에서도 동학농민혁명을 공식 용어로 사용하고 있는 만큼 이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교과서의 사실관계 오류도 다수 발견됐다. 지학사가 발행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는 ‘전봉준, 김개남, 손화중 등이 무장에서 봉기했다’고 적혀있다. 그러나 실제 김개남은 무장에 가지 않았다는 게 김양식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또 (주)리베르스쿨이 펴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는 ‘전주화약 때 폐정개혁안 12개조 제시’라고 나와 있지만, 농민군이 제시한 폐정개혁안은 27개조다.
이와 함께 다수의 교과서에서 ‘전주성 철수’를 ‘전주성 해산’으로 표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주성에서 철수한 농민군은 무기를 반납하지 않고 사태를 관망하면서 폐정개혁안 시행을 끈질기게 요구했기 때문에 ‘해산’이 아닌 ‘철수’로 봐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은 “현재 일부 교과서가 동학농민혁명을 ‘혁명’이 아닌 복고적인 성격의 ‘민란’으로 규정하고, 그 내용도 과도하게 간략화해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다루지 않는다는 인상을 심어주고 있다”면서 “교과서에 나타난 수 많은 오류들을 바로잡아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의미가 더 이상 퇴색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