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6:23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이승수의 '힐링시네마'
일반기사

[42. 히말라야] "왜 산에 올라가요? 어차피 내려올 걸"

모든 탐험의 끝은 우리가 출발했던 곳에 당도하는 일이며 처음으로 그곳이 어떤 곳인지 아는 일이다.

 

“어차피 내려올 것을 왜 산에 올라가요?” 산을 즐겨 다니는 내가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다. 죽으면 산에만 있을 텐데 왜 그렇게 산에 목을 매냐며 적당히 하라는 친구도 있다. 내려가기 싫을 때도 잦다고 하면 “그럼 왜 내려오는데?” 라고 반문하기도 한다. 그때 나는 말한다. “출발점이 여기니까. 어차피 산에 다니지 않는 사람도 어딘가 다녀와서 지금 이 자리에 있잖아”라고.

 

산악인이란 사실보다 ‘산이 거기 있으니까’ 간다고 말해 더 유명해진 ‘조지 멜러리’는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에 간 목적이 하나 더 있었다고 한다. 아내의 사진을 정상에 두고 오겠다는 약속이 그것이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만든 ‘더 와일디스트 드림(The Wildest Dream)’이란 다큐멘터리 영화는 1924년에 에베레스트 정상정복에 실패한 것으로 전해지는 그와 동행자 ‘어빈’의 등정로(登頂路)를 쫓는다. 때는 1999년. 놀랍게도 원정대의 주역 ‘콘래드 앵커’는 이 등정에서 멜러리의 시체를 발견한다. 아내의 편지, 손목시계, 고글, 고도계 등이 그대로 품 안에 있었는데, 그토록 애지중지하던 아내의 사진은 없었다. 그는 에베레스트를 정복하고 내려오는 길에 추락사한 것일까? 의문을 남겨둔 채 해설자는 말한다. 멜러리와 에베레스트와 아내( ‘루쓰’)는 삼각관계였을 것이라고. 그는 아내 곁에 있을 때는 산을 생각하였고 산에 있을 때는 아내를 생각했다는 것.

 

‘더 마운틴’이란 영화는 1956년에 만들어졌는데, 에베레스트를 오르는 형제의 이야기를 담는다. ‘에드먼드 힐러리’가 에베레스트를 정복한 게 1953년의 일인데 3년 뒤에 이렇게 거창한 영화를 만들다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들은 정상 부근에 추락한 비행기 잔해를 찾아가는 것이 목적이다. 형은 동생 ‘크리스 텔러’(로버트 와그너 분)가 승객의 소지품을 노린다는 것을 알면서도 동생을 돌보기 위해 따라나선다. 형은 부상당한 미모의 인도여인을 구출하는데, 동생은 훔친 재물을 잔뜩 챙겨 내려오다 스노 브리지에서 추락사한다.

 

요즈음 절찬리에 상영 중인 영화 ‘히말라야’는 히말라야 16좌 완등 기록을 보유한 산악인 엄홍길의 실화를 다룬다. 에베레스트를 정복하고 하산하는 길에 설맹으로 인해 불귀의 객이 된 박무택 대장, 백준호, 장민 등 3인의 시신을 찾아가는 휴먼 원정대 이야기다. 엄홍길 대장은 에베레스트 데스존(해발 7500m 이상의 높이를 일컫는 말) 어딘가에서 떨고 있을 후배들의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원정대를 꾸린다. 그는 자신의 책 <8000미터의 희망과 고독>에서 ‘나는 내 인생에서 후세 사람들이 오를 커다란 산 하나를 만들어 놓고 싶다. 그것이 내가 산에 가는 이유이고 살아있는 이유일 것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그 산의 실체가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지만 아마도 산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는 이 세 사람은 그 일을 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주요 구성원들이겠지 싶다.

 

이 영화는 왜 산에 가는가에 대한 답이 이처럼 분명하다. 그러나 기록도, 보수도, 명예도, 보상도 없는 길이기에 대원들의 의사결정에 자꾸만 의문이 인다. 인간애 때문일까? 옛 대원들은 엄홍길 대장이 일일이 찾아다니며 참여를 요청하자 생업도 중단하고 속속 나타난다.

 

이들의 장도가 시작된다. 방송사까지 따라나서는 부담 큰 여정이다. ‘아이거’ 북벽을 오르는 영화 ‘노스페이스’를 떠올리게 된다. 얼어붙은 직벽을 한발씩 오르는 사나이들과 이를 호텔에서 망원경으로 지켜보고 또 카메라에 담으려는 사람들 이야기. 애인을 산에 올려 보낸 여기자는 동료에게 이렇게 쏘아붙인다. “사진 찍으러 온 게 아니에요.”

 

가파른 빙하를 넘고 크레바스를 건너고 밧줄하나에 대롱거리다 올라간 곳에 박무택 대장이 홀로 있었다. 꽁꽁 얼어버린 그는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뭐라고 말 좀 해봐. 왜 여태 여기 있는 거야? 오열하는 대원들……. 문제는 험한 산세와 기상악화로 운구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이때 베이스캠프까지 달려온 아내 ‘수영’(정유미 분)이 나선다. “그대로 산에 있게 해주세요.” 박무택 대장이 양지바른 곳으로 이동한다. 대원들의 기도 속에 영면에 든다. 그가 정신을 잃기 직전, 눈과 구름으로 뒤덮여 장관을 이루는 산경(山景)을 보며 한 말이 메아리 되며 가슴을 친다. “경치 쥑인다.”

 

시인 ‘TS 엘리엇’은 이런 노래를 했다. ‘모든 탐험의 끝은 우리가 출발했던 곳에 당도하는 일이며, 처음으로 그곳이 어떤 곳인지 아는 일이다.’ 우리 삶에서 진짜 출발점은 어딜까? 영화 노스페이스에 “너는 집에 가라. 너는 꼭 집에 가라.”라는 대사가 나온다.

 

영화 보면서 마음이 불편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럴수록 몰입은 커진다. 야속하게도 영화는 이를 해결해 주지 않는다. 이 영화도 마찬가지다. 내안에 무엇인가 알아야 할 일이 있다는 이야기 아닐까?

 

한국영상영화치료학회 전북지부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