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신영복 선생님과 전주

2005년 봄날이었다. 전주 한옥마을의 작은 음식점에서 의미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의 저자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와 전국 각 지역에 살고 있는 15명의 비전향 장기수들이 만나는 자리. 처음 다소 낯설게 보였던 분위기는 금세 바뀌었다.

 

장기수 할아버지들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역사를 살아오면서도 민족 앞에 부끄럼 없이 살아온 신 교수를 만나니 반갑다”며 그를 맞았고, 신 교수는 “징역 20년으로는 명함도 못 내미는 자리”라며 어려운 시대 상황에서도 자신들의 사상을 지켜가는 장기수할아버지들의 험난한 삶에 경의를 표했다.

 

이날 만남은 신 교수의 전주 초청강연에 맞추어 5.18동지회가 주선한 자리였다. 장기수 할아버지 중 신 교수를 특별히 기다리는 사람이 있었다. 김찬호 할아버지였다.

 

신 교수는 1968년 통혁당사건으로 구속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한지 20년 6개월, 1988년 8월 15일 특별가석방으로 출소했는데 복역 마지막 시기인 2년 6개월을 전주교도소에서 보냈다. 그때 전주교도소에서 2년 동안 신 교수와 같은 방을 썼던 할아버지는 1년 정도 먼저 출소했다. 18년만의 만남은 그래서 더 각별했다. 할아버지는 교도소 안에서도 항상 책을 지니고 있었던 신 교수를 책 많이 읽고 사색 깊었던 사람으로 기억했다.

 

신 교수에게 전주는 특별한 공간이었다. 좀체 외부 강연을 하지 않던 그가 독자들의 열망을 더 이상 밀어내지 못하고 지방강연에 나섰던 그해에도 전주 강연은 첫머리에 있었다. 그즈음 ‘신영복 읽기’는 전국적으로 번졌었다. 신 교수가 인터뷰로 전해준 전주에 대한 기억이 있다.

 

“전주교도소 정문 바깥의 눈부신 햇빛과 가족친지들의 반가운 얼굴은 지금도 잊을 수 없습니다. 교도소에서 곧바로 향했던 서해안 바닷가 그리고 서울로 향하는 고속도로의 질주. 그래서 전주는 늘 설렘으로 남아 있는 공간이지요.”

 

신교수는 전주를 인간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도시로 꼽았다.

 

“사회는 쉽게 바뀌지 않지만, 인간미 넘치는 사회로 바꾸기 위한 모델이 필요합니다. 전주가 그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전주를 외부로부터의 변화 대상이 아닌 우리의 자부심을 방어하는 ‘작은 숲’으로 만들어 가면 좋겠어요. 인간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모습으로 말이죠.”

 

이 시대의 스승 한분을 잃었다. 어지러운 시대, 그 빈자리가 더 크다. 그래서인가. 선생이 떠나신 후 다시 ‘신영복 읽기’가 번지고 있다. 다행이다.

김은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연말 정국 혼란⋯"전북 예산 감액 우려"

국회·정당자치단체 에너지분권 경쟁 '과열'⋯전북도 움직임 '미미'

정치일반전북-강원, 상생협력 강화…“특별자치도 성공 함께 만든다”

정치일반새만금, 아시아 관광·MICE 중심지로 도약한다

자치·의회전북특별자치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북자치도 및 도교육청 예산안 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