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36년
#1.
1980년 5월 17일 밤 10시가 넘은 시각, 전북대 제1학생회관.
학생 40여 명이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농성 중이었다.
#2.
한 남학생이 여학생회장실의 문을 두드리며 다급히 외쳤다.
“군인들이 들어온다! 어서 피해!”
#3.
완전 무장한 공수부대원들은 군홧발로 문을 걷어차 열며 농성 중이던 학생들을 끌어냈다. 총여학생회장이었던 문희선 씨 등 35명이 이때 체포됐다.
#4.
그리고 일부는 한 남학생을 쫓았다.
#5.
학생회관 옥상으로 쫓긴 학생은 더 달아날 곳이 없었다.
#6.
5월 18일 오전 1시께, 그는 주검으로 발견됐다. 온몸에 심한 타박상을 입은, 처참한 몰골로.
#7.
군과 경찰은 ‘추락사’로 발표했지만, 부검의는 나중에 “두개골은 광범위한 복합골절 양상을 보였고 안면부, 흉부, 복부, 사지 등에 많은 타박상이 존재했다. 이들 가운데 상당 부분은 추락 이전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8.
“곤봉과 개머리판으로 머리를 수차례 가격당해 쓰러졌다”는 증언도 나왔다.
#9.
이 학생의 이름은 이세종. 김제 월촌 출신으로, 당시 전북대 농학과 2학년이었다.
#10.
그리고 5·18 민중항쟁의 첫 사망자였다.
#11.
1995년 2월, 전북대는 그에게 명예 학위를 수여했다.
79학번인 그는 입학한 지 15년이 지나 비로소 졸업했다.
그리고 1998년 5·18 사망자로 공식 인정됐고, 1999년 광주 망월동 신묘역(4-11)에 안치됐다.
#12.
그가 다녔던 전주 전라고와 전북대에는 각각 그를 기리는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
#13.
항쟁 36년. 민주주의를 위해 목숨 걸고 싸운 故 이세종 열사와 수많은 의인들을 기억합니다.
#14.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동지는 간 데 없고 깃발만 나부껴
새 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깨어나서 외치는 뜨거운 함성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 임을 위한 행진곡 (작곡 김종률, 작사 황석영)
기획 신재용, 구성 권혁일, 제작 이권중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