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등 삶의 여건 향상 정책 필요
지역의 청년들이 응답한 청년실태 및 정책수요는 정도의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우리가 예상하는 결과와 크게 다르지는 않았다. 오히려 지역의 청년들이 느끼는 팍팍한 현실과 삶의 욕구예측에 대한 정량적인 근거를 마련해준 셈이다. 그런데 보고서를 살펴보다가 몇 가지 사안들에 대한 응답비율을 보고 고민이 들었다. 예를 들어 최근 많은 이슈가 되었던 청년수당에 대한 응답비율을 보면, 정책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정규직과 비정규직, 기혼과 미혼, 학력 및 계열 등 응답자의 범주별로 상이한 결과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이미 여러 차례 언급한 바 있듯 청년들 사이에서도 ‘계층’의 문제가 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청년세대에서의 계층화는 우리나라처럼 계층간 이동이 점점 어려운 사회구조 속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고착화될 위험이 크다. 지금의 구조라면, 점점 양극화의 문제가 필연적으로 대두될 수밖에 없다.
흔히 우리 세대는 부모세대보다 기대 생활수준이 떨어지는 첫 세대가 될 것이라고들 한다. 암울한 얘기다. 자식이 자신보다 나은 삶을 사는 것을 원하지 않는 부모는 없다. 그런데 여기서 더 우려스러운 점은 우리나라는 자녀의 교육에 부모세대가 자신의 노후자금까지 투자한다는 것이다. 즉 이는 청년실업, 자식세대의 빈곤이 부모세대의 빈곤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음을 뜻한다. 부모세대의 격차가 청년세대의 격차를 낳기도 하지만 더 나아가 청년세대의 빈곤이 향후 노인빈곤과 세대 내의 계층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청년문제는 청년 ‘만’의 문제로 국한지어서는 안된다. 그것은 청년도, 기성세대도 마찬가지이다. 해결을 위해서는 일자리 등 삶의 여건을 향상시키는 정책과 더불어 향후 대두될 수 있는 양극화와 같은 문제까지 소통하며 함께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양극화 문제도 함께 소통하며 고민을
어느덧 내가 전주시 청년 다울마당에서 활동한 지도 거의 1년이 되었다. 그간 부침도 있었지만 나름의 성과와 변화도 있었다. 하지만 욕심만큼 많은 청년들을 만나고 미처 이루지 못한 점들은 여전히 아쉽다. 전주시 청년 다울마당은 올해 제정된 ‘전주시 청년희망도시 구축을 위한 조례’를 기반으로 새로운 체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향후 출범할 체제는 지속적으로 지역청년들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시정에 반영하며 정책을 함께 고민하는 참여의 장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전주시와 청년들의 행보에 지역사회의 꾸준한 관심과 응원을 바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