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은 ‘희생 희(犧)’, ‘희생 생(牲)’의 합성어다. 그런데 여기서 희(犧)와 생(牲)은 약간 다르다. 희(犧)는 소(牛)의 기운(羲)이라는 뜻이다. 제사(祭祀)를 지낼 때 소를 바침으로써 신(神)으로 하여금 소의 기운을 누리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같은 소일지라도 얼룩소는 금물(禁物)이었다. 곧 희(犧)는 털에 잡색(雜色)이 섞이지 않은 소를 뜻한다. 한편 생(牲)은 소(牛) 중에서도 살아있는(生) 소를 뜻한다. 그것은 제물로 소를 잡아 고기를 바친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소를 바쳤다는 뜻이다. 즉 희생(犧牲)은 천지신명이나 종묘(宗廟)에 제사를 올릴 때 제물로 올렸던 소를 의미한다.
중국 탕왕은 하나라의 폭군 걸왕을 정벌하고 은나라를 세워 천하를 잘 다스렸지만, 무려 5년간이나 비가 오지 않는 가뭄으로 백성들이 초근목피로 연명하는 고통을 겪었다. 이에 백성을 누구보다도 사랑했던 탕왕은 자신이 직접 희생의 제물이 되어 기우제를 올렸다. 그는 머리를 깎고 사지를 묶은 다음 희생의 제물이 되어 제단 위에 올랐다. 그런데 이때 그의 정성에 감격한 천신이 큰비를 내려 백성들의 행복을 찾아주었다. 이때부터 남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바치는 것도 희생이라고 하게 되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