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17:27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의정단상
일반기사

이산가족 문제, 시국과는 별개로 논의해야

헤어진 혈육 상봉위해 / 한반도 상황 위기에도 / 북한과 대화 모색해야

▲ 이석현 국회의원

북·미 갈등으로 한반도 정세가 어지럽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해 유엔은 새 대북제재결의안을 통과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이 “화염과 분노”라는 단어를 쓰면서 북한에 경고하자, 북한은 “괌 주요 군사기지”를 포위사격할 수도 있다고 받아쳤다. 이러한 시국에 우리 국민과 세계는 근심어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가슴앓이를 하고 있는 이들은 누굴까. 바로 이산가족일 것이다. 이산가족 상봉을 재차 천명했던 문재인 정부를 가장 설레는 마음으로 맞이한 이들이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죽기 전에 헤어진 가족을 만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부쩍 키웠을 것이다.

 

실제로 문재인 대통령은 직접 이산가족 상봉을 언급했고, 북한에 이를 위한 남북적십자회담 개최를 제의했다. 애초 8·15에 실현하기로 한 이산가족 상봉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면, 올해 추석을 계기로 실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최근 한반도 시국이 이렇다보니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크다. 이를 지켜보는 이산가족들의 실망과 좌절이 얼마나 크겠는가.

 

혹자는 말한다. “이 시국에 무슨 이산가족 상봉이냐”고. 일부 언론도 이러한 메시지를 에둘러 전한다. 제재와 압박 국면에서 문재인 정부가 인도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북한과의 대화를 시도하는 것은 타당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반대다. 난관을 해소하기 위해 고민과 논의를 더 활발히 해야 한다. 헤어진 혈육을 다시 만나는 이산가족 상봉 문제는 시국과는 꼭 별개로 논의되어야 한다.

 

특히 이산가족 문제는 시간이 얼마 없다는 점에서 시급하다. 2017년 6월 기준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약 13만 명이다. 이중 80세 이상 고령자가 62.6%에 이르고, 끝내 상봉을 하지 못하고 숨을 거둔 사람은 약 7만 명으로 전체 신청자 중 절반이 넘는다.

 

남북관계가 완벽하게 매끄러웠던 적은 없었다. 남북이 대치한 세월이 반세기가 넘었다. 남북관계가 마냥 해맑았던 적이 있었는가? 그것이야말로 불가능한 일이다. 그나마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었던 민주정부 10년 동안에도 긴장은 있었다.

 

그럼에도 이산가족 상봉이 중단된 2015년까지 20차례 걸쳐 약 만 3000명의 이산가족이 상봉할 수 있었던 것은 꾸준한 노력의 결과였다. 문재인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북한과의 대화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문재인 정부는 북한에 제재는 하되, 대화에 임할 것을 끈질기게 촉구하고 있다.

 

북한은 반응도 없는데 무슨 소용이냐는 회의론도 있다. 한두 번 초인종 눌렀는데 ‘누구세요’ 한 마디 없다고 그냥 돌아설 수는 없다. 어차피 쉽게 문을 열 상대가 아니다. 그렇게 기대한 사람도 없다. 조급증을 버리고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 북한이 대화를 모색해야 할 정국이 되면, 이산가족 상봉을 포함한 우리와의 대화테이블을 빌미로 나올 수도 있다. 그 정국을 주도적으로 조성하고, 대화를 유도하는 것도 필요한 일이다.

 

요즘 정국에 이산가족들은 괜히 잘못한 것도 없이 위축될 지도 모른다. 북에 있는 가족을 꼭 보고 싶다는 말도 눈치가 보일지 모른다. 그러실 필요 없다. 이산가족 상봉은 시국과 상관없이 언제나 고민하고, 항상 논의해야 할 우리의 과제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