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전주시 우아동 왜망실 일대. 이곳에서는 올해 전주문화유산연구원의 지표조사결과 통일신라시대의 선문기와와 선돌이 다량으로 발견됐다.
이날 언론 브리핑에 나선 유철 문화유산연구원 원장은 “이곳은 후백제 도요지와 와요지 일대로 추정된다”며 “이 일대가 후백제 관아시설에 필요한 기와와 전돌 등을 공급했던 지역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전주시가 1000년 넘게 잠들어 있던 후백제역사문화를 체계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본격적인 발굴 조사에 나선다.
전주는 900년부터 936년까지 37년간 후백제의 왕도(王都)였다. 올해 지표조사에서 왜망실 지역의 생산유적과 아중호수 인근 고분군 등 후백제유적으로 추정되는 34곳이 정리됐으며, 전주시는 내년부터 유적 발굴 등 정밀조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전주시는 후백제의 왕성과 도성으로 추정되는 노송동 등 전주시 전역에 산재한 후백제 유적을 찾는 지표조사에서 34곳의 유적지를 확인했으며, 이를 토대로 내년에 5억원의 예산을 들여 후백제 역사유적에 대한 시굴과 발굴조사를 추진한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후백제 역사유적에 대한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발굴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시는 올해 후백제 왕성으로 알려진 물왕멀 일원, 도성으로 추정되는 동고산성과 남고산성, 오목대 등 약 1653만㎡(500만평)을 대상으로 후백제 유적을 찾기 위한 정밀지표조사를 실시했으며, 분묘유적(6곳)과 성곽유적(12곳), 건축유적(6곳), 생산유적(5곳), 생활유적(5곳) 등 34곳을 발굴했다.
지표조사 결과 후백제의 왕성은 인봉리 일대(3265㎡)로 추정됐으며,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의 기와 등이 확인돼 왕성과 관련된 시설이 존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남고산성 내 추정 행궁지의 경우 후백제 때 사용되었던 초석이나 기단석과 기와가 수습됐다.
아중저수지 인근 무릉고분군은 인위적으로 만든 대형 분묘형태로 조성돼 있으며, 산 정상부에서는 정연하게 배열된 숯이 발견되었다는 주민들의 제보에 따라 후백제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는 후백제 관련 유적이 전주시 전역에 걸쳐 분포돼 있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시굴과 발굴조사를 벌인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시는 현재 후백제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향후 후백제 문화유산의 정비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후백제 역사문화 재조명 수립 용역’을 추진 중이다.
전주시 문화관광체육국 최락기 국장은 “정밀지표조사를 통해 기초자료가 확보된 만큼 앞으로 보다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후백제 역사를 재조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