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수작 떨지 말라”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본 말이다. 수작은 남의 말이나 행동을 하찮고 좋지 않은 것으로 여겨 이르는 말이다. 여기에 ‘개’라는 접두어가 붙은 ‘개수작’은 턱없이 둘러대는 말 또는 음흉한 심보가 뻔히 보이는 말이나 행동을 비속하게 이르는 말이 되었다. 그런데 ‘수작’의 고전적 어원은 꼭 그러하지 않다.
중국 진(秦)나라 때 한자서로 알려진 「창일편」에서는 주인이 손님에게 술을 권하여 건배하는 것을 수(酬)라 하고, 손님이 주인에게 보답하여 건배하는 것을 작(酢)이라고 했다. 이렇게 주인과 손님이 서로 공경의 뜻을 표하면서 술을 주고받는 행위를 일컬어 수작이라고 한다. 중국 고대에서 상대에게 자신의 진심을 표하는 예의의 형식이며 행위였다.
멀리서 그리웠던 친구가 찾아오면 주안상을 마주하고 술부터 권한다. “이 사람아, 먼 길을 찾아와주니 정말 고맙네” 이렇게 잔을 주고받는 것을 갚을 수(酬), 술 잔(酌)을 써서 ‘수작(酬酌)’이라고 한다. 왁자지껄한 주막집 마루에 길벗 서넛이 걸터앉아 주안상을 받는다. 이때 연지분 냄새를 풍기는 주모에게도 한 잔 권한다. “어이! 주모도 한잔 할랑가?”하고 주모의 엉덩이를 툭 치면 주모는 “허튼 수작(酬酌) 말고 술이나 마셔”라고 한다. 수작은 이렇게 잔을 돌리며 친해 보자는 것이고 주모의 말은 친한 척 말라는 뜻이다.
술 따를 작(酌)자가 쓰인 말들을 보자. 도자기 병에 술이 담기면 그 양을 가늠하기 어려워 천천히 기울여가며 술을 따르는 것이 짐작(斟酌)이다. 짐(斟)은 ‘머뭇거린다’는 뜻이 있다. 따라서 짐작은 ‘미리 어림잡는 것’이다. 또 무슨 일을 할 때는 우선 어떻게 할 것인지를 먼저 생각한다. 이것이 작정(酌定)이다. ‘따르는 술의 양을 정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그런데 술을 따르다 보면 잔이 넘쳐서 상대방을 무시하는 무례한 짓이 될 수 있는데 이것이 무작정(無酌定)이다. 그리고 아무리 오랜만에 찾아온 친구라도 원래 술을 잘못하는 사람이면, 마구잡이로 술을 권할 수는 없다. 이럴 때는 그에게 절반만 따라주며 상대방의 주량을 헤아려 따라주는 것이 참작(參酌)이다. 판사가 피고의 여러 사정을 고려해서 형량을 정할 때 ‘정상 참작’도 술 따르는 것에서 유래된 것이니 술 한잔에도 여러 의미가 있음을 알고 마시면 좋겠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