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고흐, 한국의 고흐’라고 평가 받는 재일미술가 오일(吳日, 1939~2014)의 하정웅컬렉션 ‘오일-Zero(無)의 외침’展이 지난달 17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하정웅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오일 작가 작고 3주기를 기념, 광주시립미술관과 수림문화재단에 소장된 하정웅컬렉션 300여점 중 선별된 80여점과 함께 작가의 생애와 사상을 알 수 있는 영상이 포함된 회고전이다.
일본 히로시마에서 태어난 오일 화백은 1960년대 일본 앙데팡당전과 재일 조선청년전, 평화미술전을 시작으로 2000년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재일의 인권전’에도 참가한 바 있으며 생전에 35차례 개인전을 열었다. ‘일본의 고흐, 한국의 고흐’라고 일본의 한 평론가가 오일 작가를 지칭한 것은 그가 고흐처럼 불세출의 화가지만 생전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시 재일동포들의 삶이 그러하듯 일본 히로시마에서 태어난 오일의 인생역정은 시련과 고난의 연속이었다. 1945년 원폭투하 때 다행히 온 가족은 살아남았고, 7세가 된 오일은 할머니가 계신 조국 경남 거창으로 귀국하여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기까지 6년여를 그 곳에서 보내게 된다. 그는 가난하지만 정겹고 따사로운 조국의 풍광을 경험하게 된다. 어디에나 흔히 볼 수 있는 시골풍경이 어린 오일에게 잊히지 않는 기억과 경험을 안겨준다.
그 후 일본에 돌아온 오일은 여러 직업을 거치며 방랑하다 19세에 화가가 되기 위해 도쿄로 간다. 그는 독학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 제도적인 미술학교에서 배운 그림이 아니라 가슴 속에서 솟구치는 예술혼을 독창적으로 구현한다. 그는 단순한 형태와 강렬한 원색으로 주로 인물화와 풍경화를 그렸다. 그는 원색을, 특히 우리의 전통적인 오방색으로 화폭을 가득 채운다. 여인들이 입은 흰 저고리와 검은 치마, 농부가 하루 일을 마치고 돌아가는 무렵 붉은 노을, 누런 들판, 푸른 하늘 등 오방색을 주로 사용했다. 그의 작품에는 물동이를 이고 가는 여인의 모습이 많이 등장한다. 머리에는 물동이를 인 시골 아낙네를 그린 작품은 조국에 대한 그리움이 사무친다.
1970년대 오일은 새롭게 추상작업을 시작한다. 자유분방한 선과 색채로 러시아 순수추상화가 칸딘스키의 그림을 연상케 한다. 직선과 원을 사용한 또 다른 추상화는 구성주의 대표적 화가 몬드리안의 면 구성과 유사한 듯 보이지만 그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작품 ‘향수’는 빛나는 태양 아래 흰 저고리에 검은 치마의 젊은 여인이 한 손은 물동이를 잡고 한 손은 어린 아들 손을 잡고 있다. 어린 아들이 옆에서 젊은 엄마의 손을 붙잡고 있어서일까. 이 모자상은 태양보다 더 찬란한 모습이다. 아마도 작가가 어머니와 헤어져 지낸 어린 시절의 이상적인 모습을 표현하지 않았을까 추정해 본다.
별로 기대하지 않고 간 전시회가 새로운 작가를 만난 기쁨으로 충만해졌다. 제목 ‘제로(無)의 외침’은 유치진의 시 ‘깃발’ 중에서 ‘소리 없는 아우성’이란 시구와 오버랩 된다. 내가 좋아하는 단순한 형태와 선명한 색상의 오일의 작품들이 우연히 발견한 보물 같다. 어린 시절 만경평야가 펼쳐진 외갓집에서 본 듯한 여인들의 모습이 그리운 그 시절을 떠올리게 한다. 늘 가고픈 그 시절, 그 곳….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