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야사 복원을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시키면서 전북지역 가야문화를 재조명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았다. 정부의 가야사 복원사업에 발맞춰 전북도 역시 지난해 ‘전북가야 선포식’을 갖고 가야사 관련 연구용역을 통해 유적발굴·정비와 향후 활용방안에 관한 전략을 세웠다. 그러나 전북도청 내 전담조직과 인력을 갖추지 못해 전북의 가야사 복원사업이 체계적으로 진행되는지 의구심이 든다.
전북의 가야사 복원사업은 경남북에 비해 후발주자다. 가야사는 지금까지 금관가야(김해)·대가야(고령)·아라가야(함안) 등 경남을 중심으로 발굴과 정비 등이 이뤄졌다. 전북의 가야사가 부상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가야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유물·유적이 전북지역에서 대거 발굴·발견되면서다. 전북도가 용역을 통해 지난 1년간의 지표조사를 벌인 결과 전북 가야의 고분·봉수·산성·제철유적이 750개소나 된다고 보고했다. 이전의 조사 때 보다 72개소가 늘었다. 유적의 확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전북 가야사의 미답지가 많아 그만큼 과제도 많이 쌓인 셈이다. 실제 전북도는 올해부터 2021년까지 남원 아막성·월산리와 청계리 고분군·옥계동 제철유적, 완주 탄현봉수, 진안 대량리 제동유적, 무주 대차리 고분군, 장수 삼봉리·등촌리 고분군, 장수 침령산성, 임실 봉화산 봉수, 순창 합미성 등 11개 유적을 국가사적으로 등재할 계획이다. 제철유적과 봉수유적은 사적 등재에 이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도 추진할 계획이란다.
그러나 가야사 복원사업 관련 전북도의 전담조직이 없고, 전담인력도 1명뿐이다. 정부의 가야사 복원사업 의지에 맞춰 경남도는 올 연초 19명으로 구성된 ‘가야사연구복원추진단’을 만들었고, 경북도는 4명으로 구성된 ‘가야연구복원담당팀’을 만들었다. 경남도는 ‘가야사연구복원추진단’에 가야사정책담당, 가야사복원담당, 문화재관리담당, 문화재보수담당 등 4개의 팀까지 짰다. 경남북에 비해 가야사 관련 유적 조사 및 발굴부터 상대적으로 뒤떨어진 상황에서 더 역량을 모아도 모자랄 판에 전담조직 신설조차 미뤄서야 되겠는가. 지역적으로 큰 프로젝트인 가야사 복원사업을 이리 어수룩하게 끌고 갈 일이 아니다. 전북 전체적으로 7개 시군에 걸쳐 있다. 전북도가 중심에 서서 시·군을 아우르는 조직을 속히 만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