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추석&추억] 빼앗김과 축소의 역사…전북 제 몫 찾아야

지역에 비해 풍요롭던 전북 산업구조개편 실패로 전국 최악의 경제상황
한국 인구 늘었지만, 유독 전북 인구는 감소세
전북 해방과 군사정부 거치며 의도적 소외 강한 탓 커
이제는 제 몫 찾고 목소리 내야

소와 쟁기를 이용한 논갈이(왼쪽). 섬유사업 본격화 시기의 삼양사.
소와 쟁기를 이용한 논갈이(왼쪽). 섬유사업 본격화 시기의 삼양사.

△전북의 시작과 소외의 역사

1896년 13도제 시행으로 전라도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로 분할된다.

전라북도는 전라도 53개 군 가운데 전주를 포함한 북부 26개 군(전주, 고부, 고산, 구례, 금구, 금산, 남원, 김제, 만경, 무주, 부안, 순창, 여산, 옥구, 용담, 용안, 운봉, 익산, 임실, 임피, 장계, 장수, 정읍, 진산, 태인, 함열)을 관할했다. 그러나 1907년 구례군이 전라남도로 편입되고, 전라남도에서 고창, 무장, 흥덕 3개 군을 편입하여 28개 군을 관할하게 된다.

1914년에는 일제가 전국의 군을 대대적으로 통폐합했다. 이때 전북의 군은 28개에서 14개로 개편됐다. 군산부(구 옥구부)에서 옥구군이 분리되었다(1부 14군). 이후 해방 이전인 1935년에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해방 직후인 1947년에 익산군 이리읍이 이리부로 승격되었다(3부 14군).

그리고 1963년 박정희 정권 초창기에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편입되는 굴욕을 겪었다. 익산군 황화면 또한 논산군에 편입되면서 연무읍으로 변경됐다. 1980년에 정읍군 정주읍과 남원군 남원읍이, 1989년에 김제군 김제읍이 각각 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전국 행정구역 개편(도농통합)에 따라 현재의 모습이 만들어졌다.

이병철 삼성 회장 전주제지 시찰
이병철 삼성 회장 전주제지 시찰

전북은 행정구역 개편 때마다 정치적 이유로 차별을 받았다. 본래 전남과 충남의 일부 지자체는 과거 전북에 포함됐던 것들이다. 전북은 일제와 군사정부를 거듭하며 빼앗김과 축소의 역사를 반복했다. 전북도가 주창하는 전북 몫 찾기 프로젝트도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북의 주부인 전주는 그 위상이 계속 추락했으며, 전북경제도 전주의 규모축소와 정치·경제적이유로 소외 받았다.

과거 전주는 호남지역 중심도시로 기능해왔다.

고려 치세 전반 동안 전주는 전라도의 중심 도시였고, 이는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 이 당시 ‘조선의 북쪽에는 평양, 남쪽에는 전주’라는 말이 있었다. 전주의 별칭이 호남제일성(湖南第一城)인 것도 이 당시 전주의 위상을 보여준다. 풍남문에 이 명칭이 붙어 있으며, 호남고속도로 전주IC에서 전주 시내로 진입할 거치는 ‘호남제일문(湖南第一門)’도 ‘호남제일성’에서 따온 것이다. 전라도의 ‘전’도 전주를 의미한다.

△전북경제구조

전북은 군사정부의 서울 집중전략과 의도적인 호남 소외의 영향을 받아 농업에서 제조업으로의 경제구조 개편에 실패했다,

전북은 한반도를 아우르는 곡창지대로 기능했다. 농업이 중심이던 시절 전북이 잘 살았던 이유다. 특히 논이 밭보다 훨씬 많아 국내에서 쌀 생산량과 품질이 우수했다. 그러나 쌀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고 30년 간 가격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전체 가구에서 농가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는 높지만, 경영 규모와 소득 수준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상황으로 전락했다.

전북 전체 농산물 생산 및 농가 소득원에서 미곡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그러나 전북의 쌀 생산량이 많다는 점은 축복보다 오히려 재앙인 경우가 더 많았다. 전근대 시대의 가렴주구, 일제강점기의 쌀 수탈, 박정희 정권 이후의 저곡가 정책 등이 대표적이다.

넓은 평야지대를 끼고 있지만, 간척을 통해 농지를 더욱 넓히려는 시도는 지속적으로 있어왔다. 새만금 사업도 농지를 넓히려는 데에서 나온 전략이다. 1991년부터 시작된 새만금 간척사업은 2010년 방조제가 완성되면서 1단계가 완공된 상태다. 그러나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하면서 복합 산업단지로 용도변경이 추진하고 있다.

축산 규모도 크다. 전국에서 유통되는 닭고기의 절반이상이 전북에서 나온다. 그런 탓에 조류독감 관련 뉴스가 나오면 관청, 사육 농가 할 것 없이 초비상이 걸린다.

수산업은 군산과 부안에 집중돼 있다. 주요 어장으로는 개야도-연도-어청도 일대 수역과 위도 연근해 해상이다. 고군산 군도와 위도에서는 김 양식이 이뤄지고 있다.

전북은 공업, 농업, 수산업이 골고루 분포돼있는 편이지만, 전통적인 산업에 의지하고 있다. 신산업 구조가 고착된 이후 전북 경제규모는 점차 축소되고 있다.

 산업시설은 전주, 익산, 군산, 완주 등 서북부에 집중돼 있다. 전통적으로 섬유, 제지, 합판 등이 전통적인 주력 산업이었다. 그러나 쌍방울 사태, BYC 철수로 섬유산업이 크게 흔들렸다.

섬유산업 명맥은 휴비스가 이어오고 있다.

군산조선와 한국지엠 군산공장은 산업의 가장 큰 축이었으나 둘 다 전북에서 철수했다. 현대상용차 공장과 타타대우 상용차 공장이 전북 자동차 산업의 보루로 남았다.

대기업과 관련 기업들이 위기를 겪으면서 전북의 재정자립도는 2015년 기준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꼴찌를 기록했다.

전북은 군사정부시절, 영남에 집중됐던 산업화와 수도권의 수혜를 받은 충청에 밀려 소외됐다. 전북이 평범한 산업화를 포기하고, 농생명, 금융, 탄소 등으로 신성장 동력을 마련하려는 것도 군사정부 시절 한국의 산업화 구조와 고착된 것과 관계가 깊다. 그러나 농생명은 전남, 금융은 부산, 탄소는 경북과 포지션이 겹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탈 전북 전북경제성장 동력에 치명타

전북은 지역규모가 축소되고, 역대 정권에 의해 경제적 소외를 받으면서 고향을 등지는 도민들이 점차 증가했다. 도민들의 이탈은 청년인구 감소와 저출산을 불러와 급격한 인구감소에 영향을 끼쳤다. 전북은 해방직후인 1949년도 보다 인구가 줄어든 거의 유일한 지자체다. 그동안 영남지역 인구는 2배 가까이 늘어났고 강원, 충청지역도 모두 늘었지만 유독 전북 인구 규모는 감소했다.

전북은 1949년 당시 205만485명이 살았지만, 올해 기준으로는 185만 명에 불과하다.

인구 감소에 따라 전북지역구 국회의원 의석수는 11석에서 10석으로 줄어든 반면 경기도와 충청권은 오히려 늘어났다. 정치적으로 소외됨에 따라 각종 정부 정책에서 밀리는 것은 자명한 결과다.

전주는 1992년부터 100만 명 이상의 광역지자체를 꿈꿨지만 지금은 100만은 커녕 65만 명에 머물고 있다.

정부예산 배정도 효율성과 합리성을 이유로 인구수를 기준으로 책정되고 있어 인구감소는 전북경제 성장 동력에 치명타를 입히고 있다.

전북청년인구 감소는 더욱 심각하다. 전북의 20~30 청년들은 매 달마다 3000여 명씩 전북을 떠난다. 그 결과 올해 기준 전북청년은 전북인구 비중에서 고작 18%를 차지하고 있다.

김윤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람들전북기자협회 2024 전북기자상, 전북일보 수상자 6명 배출

익산비난 여론 폭주에도 ‘탄핵 반대’ 입장 굳건, 조배숙은 왜?

사람들농협중앙회 장수군지부-장수군 농업인단체연합회, 사랑의 쌀 전달

보건·의료전북약사회 "불법 비상계엄 헌법 유린 윤석열은 퇴진하라"

정치일반민주당 전북도당 "내란 수괴 비호, 민주주의의 반역자 조배숙 물러나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