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 인프라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
농생명·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 모델 구체화도 부족
서울·부산 금융중심지 열세와 국내금융산업 경쟁력 하락 우려도 원인
막판 부산정치권의 반발 등 지역 간 갈등에 대한 부담감도 작용
용역 결과에 맞춘 중장기 계획 수립 필요
전북 제3금융중심지 지정과 관련한 용역 결과가 부정적으로 발표되면서 그 속내와 향후 전북이 나아갈 방향에 관심이 집중된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지난 12일 발표한 ‘금융중심지 추진전략 수립 및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 용역’결과 전북혁신도시의 인프라 부족이 가장 큰 약점으로 거론됐다.
또한 전북이 타이틀로 내세운 농생명·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 모델의 논리적 연계성 부족도 보완할 점으로 꼽혔다.
다만 금융중심지 추가 지정 시 예상되는 긍정적 효과를 배제할 수 없기때문에 전북혁신도시만의 차별화되고 지속가능한 모델을 제시하라는 대안도 함께 제시됐다.
제2금융중심지인 부산 정치권의 반발도 전북혁신도시 제3금융중심지 지정이 유보된 이유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전북이 금융중심지로 추가 지정될 경우 기존 부산 금융중심지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감에서다. 부산은 그간 전북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지역 간 갈등을 촉발하고, 전체적인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를 높여 왔다. 추진위 당연직 위원으로는 우리나라 제1·2금융중심지의 수장인 박원순 서울시장과 오거돈 부산시장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추진위의 정무적 판단외에도 번번한 컨벤션하나 갖추지 못한 전북의 현실이 금융업계 전문가들로부터 냉혹한 평가를 받았다는 점은 반성할 요인이다. 전북의 금융산업 현황은 전국 또는 부산과 비교할 때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종합적인 문화·경제·교육 등 생활여건에서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금융중심지로서의 위상을 가질 만한 관련 인프라가 전북혁신도시에는 아직까지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가 유일하다는 것이다.
이번 용역 결과에 맞춰 전북 제3금융중심지 프로젝트의 중장기 계획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실제 추진위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전북 자산운용 중심 금융중심지 육성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위주의 규제강화에 따른 위험 보장 등을 위한 자산관리 수요가 커지면서 자산운용업이 유망산업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핀테크 등 디지털 금융 산업 육성과 지원도 과제다. 우리나라의 강점인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외국계 금융회사의 물리적 문제를 보완하고, 디지털 기술 혁신을 통해 금융시장 경쟁력을 선점하라는 전문가 조언이다.
연기금 특화 중심지에 걸 맞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금융업과 국민노후보장을 위한 연금자산 운용체계 마련도 과제로 거론됐다.
특히 전북이 처한 당면과제는 농생명과 금융산업을 신산업 육성 모델로 연계 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여부다. 전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농생명·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 모델의 근거를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하라는 것은 금융위가 공식적으로 권고한 내용이다.
전북 제3금융중심지 논의를 다시 진행하기 위한 선결조건도 제시했다. △금융중심지 모델의 차별화와 지속가능성 △이행계획과 모델 달성의 적합성 및 실현가능성 △이행계획이 실제 진행돼 금융중심지로서의 성공가능성이 가시화 될 것 등이다.
금융위 관계자는“전북의 여건이 아직 무르익지 않았기 때문에 서울과 부산 등 기존 금융중심지를 내실화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위가 서울과 부산의 금융업 지원에 우선 무게를 실어준 점과 문 대통령의 공약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