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농촌지역 과소화 심화로 10개 시군이 지역소멸 위기를 맞은 가운데 45개 자연마을이 아무도 살지않는 무거주(無居住) 마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지역 청년들이 스스로의 역할을 찾을 수 있는 기반과 기회를 만들어줘야 할 때 가능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은 29일 전북도청 대회의실에서 ‘지방소멸시대의 농촌지역 대응방안에 관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자로 나선 황영모 전북연구원 산업경제 연구부장은 “전북 농촌지역 과소화가 갈수록 심각해져 전북 10개 시군이 지역소멸 위기지역으로 분류됐다”며 “전북 농촌마을 역시 인구이동고착화와 활력저하로 45개 마을이 아무도 살지 않는 무거주 마을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소멸위험지수는 1미만인 지역이 지역소멸 위기지역으로 분류되며, 10개 지역은 임실, 무주, 장수, 진안, 고창, 부안, 순창, 김제, 남원, 정읍시가 해당됐다.
전북 내 자연마을 6898개 가운데 무거주 마을은 45개로 나타났고, 군산1, 남원1, 정읍3, 무주3, 진안4, 김제5, 완주6, 임실7, 고창13개로 조사됐다.
또 자연마을 6898개 중 경제활동 인구가 없는 마을도 85곳으로 집계됐다.
토론자로 나선 김종원 사회적협동조합 마을발전소 맥 대표이사는 “지방소멸의 대안은 지역 청년들이 역할을 찾을 수 있는 기반과 기회를 주어야 한다”며 “청년들이 지역의 문제를 이해하고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든 뒤 활동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문재인정부 들어 청년 지원이 많아졌는데 청년이 지역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경제 청년혁신가 지원사업, 청년 내일로 사업 등이 있다”며 “그러나 청년들이 지원사업을 쫓는 지원사냥꾼이 되어가는 것을 자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종식 (사)한국사회주택협회 이사장은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농촌 정책의 근간은 이촌향도 정책이자 농촌 희생정책이었다”며 “농촌은 근현대 한국 자본주의의 초기자본 축적과 도시화를 위해 비자발적 회생과 헌신을 강요당해왔다”고 지적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