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232곳 존재, 하지만 2017년 113곳으로 줄어
인터넷·대형서점 증가, 전자교과서 도입 등 이유 쇠퇴
#1. 전주시 완산구의 한 작은 서점을 운영하는 A씨는 요즘 살길이 막막하다. 1만원 가격의 책 한권을 팔아도 2500원에서 3000원의 수익만을 남긴다. 하지만 이마저도 녹록치 않다. 하루 평균 5명의 손님이 방문하지만 대부분 책을 구매하지 않아 적자만 쌓여서다.
A씨는 “대형 서점의 마케팅 전략에 밀려 작은 서점들은 문을 닫는 추세”라면서 “솔직히 너무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2.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에 위치한 작은 서점을 운영하는 B씨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책을 판매하는 것으로는 수익이 나지 않아 카페형 서점을 운영하고 있다. 커피를 마시며 책을 볼 수 있고, 책도 구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이용객들이 대부분 책을 읽고 가는 공간으로만 인식하고 책마저도 팔리지 않아 매월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B씨는 “커피 등 매출보다는 결국 책을 팔아야 하는데, 손님들이 책을 함부로 봐 훼손되고 결국 팔수 없을 지경도 있다”면서 “반품조차 되지 않아 그만큼의 가격을 손해봐야한다”고 토로했다.
대형서점과 인터넷 서점의 영향으로 책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전북의 작은 서점들이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한선교 의원(자유한국당)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999년 232곳이던 전북의 서점이 2017년 113곳으로 줄었다. 19년새 절반 넘은 119곳의 서점이 문을 닫은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는 인터넷 서점의 온라인 할인과 대형서점의 증가, 전자교과서 도입, e북 확산 등이 주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 대형 서점의 경우 초기 납품비용을 50~55%만 지불하면 되지만 작은 서점들은 70~75% 가격으로 납품을 받는다. 수급 비용부터가 대형서점과 경쟁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전북에서 서점을 운영하는 점주들은 “책을 팔아 300만원의 매출이 나올 경우 한 달 월급이 80만원밖에 되지 않는데 대형서점과 인터넷 서점의 영향이 크다”면서 “납품 가격부터 차이가 나지만 온라인, 대형 서점은 여기에 할인가를 붙여 판매를 하는데 작은 서점들은 그럴 수 있는 여유도 없다”고 입을 모은다.
전주시의 경우 ‘독서대전’의 행사와 지역서점 인증제를 통해 작은 서점들의 책을 판매토록 독려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떨어지는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주시 덕진구에서 작은 서점은 운영하는 C씨는 “지역서점 인증을 받는다하더라도 독서대전에 참가할 수 있는 권한을 줄 뿐이고, 독서대전에 참가하려면 결국 서점을 비워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서 “이러한 정책이 과연 지역서점을 살리는 최선을 방법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작은 서점을 살리는 좋은 사례는 경기 용인시가 있다. 용인시는 희망도서 바로 대출제를 통해 관내 서점 20곳에서 한해 평균 13만여 권의 도서를 구입해줘 활로를 찾고 있다.
희망도서 바로대출제는 시민들이 동네서점에서 새 책을 무료로 빌려 읽은 뒤 반납하면 용인시가 도서관 장서로 구입하는 특화시책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의 경우도 ‘지역서점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도서 구매시 지역서점에 대해서 우선구매를 하도록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