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슬로시티 제3기 재인증을 추진하는 전주시가 급격한 상업화 및 기계화된 한옥마을에 대한 보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주시는 내년 국제슬로시티연맹으로부터 제3기 국제슬로시티 재인증 평가를 앞두고 이달 중에 ‘마스터플랜 수립용역’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2010년 11월 27일 전주한옥마을을 거점으로 첫 슬로시티로 지정받은 전주시는 지난 2016년 4월 27일 제2기 재인증을 받은 후 전주시 전역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했다.
이후 지난 4년간 도시 전반에서 슬로시티 정신을 담은 정책을 펼쳤다.
구도심 문화소외지역에 25년 동안 흉물로 방치된 폐산업시설을 재생한 ‘팔복예술공장’과 조선왕조 뿌리와 터전을 알리는 전라감영 복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인정받아 2019년에는 국제슬로시티연맹이 주관한 어워드에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도시정책’ 부문을 수상했다.
그러나 전주 슬로시티의 시발점이자 중심지인 한옥마을에선 상업·기계화가 가속화해 ‘패스트 시티’로 퇴보했다는 평가다.
한옥마을은 거리를 채운 각종 길거리 음식·오락체험 공간은 물론 인도·차도를 가리지 않고 돌출하는 전동 이동장치로 인해 슬로시티의 정취를 느끼기가 어려워졌다. 계속된 민원에도 적절한 해결점을 찾지 못한 전주시는 방문객 안전을 위해 전동기의 인도보행·속도 규제만 하는 상황으로, ‘느림의 미학’·‘사람 중심’ 등 슬로시티 대표 정신이 뭉개졌다는 비판이 나온다.
최영기 전주대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걷기와 같은 느림의 미학을 느껴야 할 슬로시티에서 전동 교통수단이 넘쳐나는 게 모순적”이라며, “한옥마을의 전통적인 생활문화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심형 슬로시티 인증에 확장성에만 치우쳐 정작 전주 한옥마을은 환경·정신이 변질되고 관광 거점과 슬로시티 거점이 혼재돼 ‘속 빈 강정’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최 교수는 “슬로시티를 작위적으로 확대해 벨트로 묶는 것은 관광거점 산업에 가깝다. 도심형 슬로시티의 관건은 지역민 전체에 느림의 미학이 전파되고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이고, 그 중심에서 한옥마을이 정신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국제슬로시티 재인증과 전주만의 슬로시티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제3기 국제슬로시티 전주 마스터플랜 수립용역’을 추진한다”며 “용역을 통해 국제슬로시티 재인증의 타당성을 발굴하고, 그간 추진했던 슬로시티 정책에 대한 성과들을 분석한다”고 밝혔다.
시는 내년부터 2025년까지 전주 전역을 범위로 추진할 사업의 기본구상과 전략사업의 단계별 세부실행계획, 대내·외 홍보방안 등 국제슬로시티 재인증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용역은 오는 8월말까지 진행된다. 제3기 국제슬로시티 전주에 대한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슬로라이프 운동, 슬로푸드, 슬로 투어리즘 등 단계별 추진사업을 구상할 계획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