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11 18:32 (수)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금요수필
일반기사

[금요수필] 후발주자(後發走者)-

박순희
박순희

빛나는 문화와 역사는 선구자들이 견인해왔다. 그 어떤 사상이나 한 일이 다른 사람보다 앞선 사람이 선구자라면 개척자는 불모지를 일구기 위해서 비범한 개척정신과 노동력을 겸비해야만 가능하다. 즉 가시밭을 헤치는 피나는 노력과 멀리 바라볼 줄 아는 혜안이 있었다는 것이다. 즉 어떤 분야든 반드시 선구자나 개척자가 있었다. 그들이 피땀으로 닦아놓은 길이 있어 뒤에 가는 사람들은 보다 쉽게 따라 갈수 있었다.

분명 개척자나 선구자는 새로운 목적을 추구해가는 과정에 있어서 환경적으로 닥쳐오는 모든 어려운 여건을 주체적인 입장에서 다각으로 극복해 갔다. 또한 선구자와 선발대는 엄밀히 따진다면 차이가 있겠지만 선발대 역시 선구자와 공통점이 많다. 앞서 간다는 것은 책임감과 함께 모험도 따르고 개척해 나가야하는 과제를 해결해야하는 고통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비슷한 개념의 선발주자가 있다면 비주류 후발주자가 있다. 2진, 방외인, 스페어, 대기조 등의 이름으로 환호 받지 못한 비주류의 비애에 대해 생각해본다. 주류와 1등만이 환영받는 우리나라 문화에선 후발주자는 언제나 찬밥 신세였던 건 부인할 수 없다. 그 나름의 형편과 처지가 있어 선발로 뛰지 못했지만 후발주자 역시 투지력은 누구 못지않은 승부 근성 즉 답습과 재생으로는 후발주자를 못 벗어난다는 각오를 끝까지 놓아서는 안 된다는 심리다.

선발대의 뒤를 따르는 사람을 싸잡아 후발주자라는 안일의 표상처럼 취급한다면 곤란하다. 누구든 자기의 보폭과 성향에 따라 전진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선발된 주류라고 모두가 완벽한건 아니다. 모든 상황은 언제나 변할 수 있는 게 진리이기에 예수님께서도 2천 년 전에 이미 “먼저 된 자로서 나중 되고 나중 된 자로서 먼저 될 자가 많다”고 하셨다.

오늘의 주류가 하루아침에 비주류가 될 수 있는 게 이 땅의 토양이고 보면 영원한 주류도 영원한 비주류도 없다. 주류라고 목에 힘주거나 비주류라고 기죽을 필요는 없다. 대기만성의 의지로 끊임없이 노력하는 자가 냄비 근성을 이겨낸 경우를 수도 없이 보아왔다. 경쟁 사회는 등수로 서열을 매기면서 치열해진 경쟁에 한걸음 더 나아가 살벌해졌다.

어떤 분야의 개발에 선구적 업적을 이루어 냈다는 것은 이미 주도권을 선점한 이점이 기득권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기를 쓰고 선발주자가 되려고 한다. 그러나 선발대라고 안심하고 머뭇거리다가 역전당하는 건 시간문제다.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에서 우린 일찍이 학습되어있는 교훈이다. 비주류와 후발주자를 같은 등급으로 친다면 어떤 곳에나 나는 비주류에 속한다. 생각해보니 후발주자라는 말이 나한테 딱 맞는 말인 것 같다.

공부부터가 만학을 했으니 자연히 후발주자였고 꼭 무엇부터 있어야 한다는 철칙이 있었던 건 아닌데 문화생활에서 후발 주자라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스마트폰이나 가전제품의 신 모델로 바꾼 것도 남들보다 한 발 늦다. 생각해보니 돈 문제 보다는 성향과 관계가 깊다. 후발주자가 한 가지 좋은 것이 있긴 하다. 후발로 신제품을 살 땐 모든 기능이 그동안 부족했던 기능을 보안해서 업그레이드된 상품으로 생산되니 최신기능의 모델을 구입하게 된다.

의식적으로 그런 점을 노린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후발성향이라는 걸 새삼 발견했다. 그러나 후발주자나 비주류가 싫지 않은 이유는 신중한 결과 최고 최선의 선택기회가 있다는 것에 위안 받는다. 후발주자에겐 겸양과 도발정신이 있고 선발로 향할 가능성과 희망이 있다.

 

△박순희 수필가는 <한국문인> 으로 등단했다. 현 행촌수필문학회 부회장. 수필집 <꽃으로 말한다> <대체로 맑음> 이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