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5:59 (일)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산업·기업
일반기사

[수요폭발 ‘드론산업’, 전북 선점 놓쳐선 안 된다] (상) 현황 - 전북은 핵심기술 기반·인프라 유치 약해

제조업 침체 속 첨단·융합기술인 드론산업 정부 차원 육성 지원
전북도 선점 노력하지만, 중국 기술·가격 무기로 세계시장 점령

드론택배·자율비행(PAV)·도심항공교통(UAM)…. 드론 산업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폭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문재인 정부의 전폭적인 육성아래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이 분야에 뛰어들었다. 전북 역시 세계최초 ‘드론축구’를 개발하는 등 일찌감치 준비해온 전주시를 중심으로 드론산업 선점에 나섰다. 그러나 전북도 차원의 특화수요 개발이나 인프라가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도리어 수도권기업·정부 지원이 쏠린 타 지자체들에 뒤처질 우려가 나온다. 전북의 ‘드론산업’ 추진 성과와 한계, 먹거리 선점을 놓치지 않기 위한 과제를 모색해봤다.

미세먼지 농도 측정하는 드론
미세먼지 농도 측정하는 드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드론산업은 국내외시장에서 이젠 놓쳐선 안 될 혁신동력이 됐다.

드론이 환경·농업·자율비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면서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커지고 있다. 2016년 56억달러였던 세계 드론시장 규모가 2025년 239억 달러로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드론산업의 잠재력에 문재인 정부도 공격적인 육성·투자를 펼치고 있다.

국내 드론시장규모를 현재 704억 원에서 2026년까지 4조 4000억 원까지 확대해 5년 내 국내서만 약 17만 명의 일자리 창출과 29조 원에 달하는 수요·생산을 전망하고 있다. 한국판 뉴딜의 핵심육성 과제에도 포함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따른 지역경제 신성장동력이 되도록 대규모 지역 기반마련 지원을 한다.

제조업 침체와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지역경제 침체가 지속되는 전북도가 탄소·수소산업과 함께 드론산업을 놓쳐선 안 되는 이유다.

하지만 전북도는 드론 기술·제조 산업기반과 관련 인프라 조성이 취약해 시장 선점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드론논 방제
드론논 방제

현재 도내 드론 관련 기업에서 시장에서 수요가 큰 핵심기술·제조 기업 비율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 등에 따르면 47개 기업 중 설계, 기술개발, 부품 제작 등 자체 상품을 제조할 수 있는 곳은 12곳이다. 이중 무인 항공기·비행장치 제조 등 부가가치가 큰 핵심 산업은 7곳이다. 나머지는 부품개발·납품이 26곳, 소프트웨어 산업 2곳, 배터리 제작 2곳, 관련 서비스 5곳이다. 최근 5년새 연관 기업이 200여 곳 증가했다고 분석되나 무인비행기 조종 인력양성 등이 90%이상이다.

도내 관련 업계 관계자는 “이미 중국의 DJI·이항 등의 기업이 높은 기술력과 낮은 가격을 무기로 세계 드론시장의 약 70%를 점유한 상황에서 후발주자격으로 원천기술 연구·완제품 개발을 하기엔 경쟁력과 시장성이 불투명하다”며, “전북기업들의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시장(공급)이 있다면 기업 투자와 기술개발의 국산화 등이 당연히 따라오고 산업 규모도 커질 것”이라고 했다.

드론 전용공역 확보와 장비구축·연구 등을 위한 인프라도 전북은 부족하다.

국가 공모를 통해 드론전용비행시험장, 드론기업지원센터, 드론인증센터, 드론실증도시, 드론공원을 지정·지원하는데, 20개곳 선정 중 전북은 한 곳도 없다. 유치된 지역은 서울(3), 인천(2), 경기(4), 대전(2), 충북, 강원, 경남, 대구, 부산, 전남(2), 제주지역으로, 전북을 제외한 모든 자치단체 권역이 유치에 성공했다.

팍팍한 지원 속 전주시가 국비 40억 원을 확보해 연말 완공을 앞둔 드론산업혁신지원센터가 기대감을 갖게 한다.

도내 20여 개 업체·연구기관이 한곳에 입주해 첨단장비 공동사용·공동 연구 및 신제품개발 등을 진행해 집적화에 따른 다양한 가치 창출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요폭발 ‘드론산업’ #전북 선점 놓쳐선 안 된다 #전북일보 기획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