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8:11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전북칼럼
일반기사

혁신의 방향과 자세

한병성 전북대 명예교수

한병성 전북대 명예교수
한병성 전북대 명예교수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라”는 1993년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시작으로 삼성을 개혁, 오늘날 세계 브랜드가치 5위까지 오르게 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얼마 전 타계했다. 80년대 후반만 해도 아시아의 2류 업체였던 삼성전자, ‘싸고 질 낮다’는 평가를 받아온 현실에 대한 강한 불만과 세계적으로 불어 닥치는 경영환경의 변화를 인식, 장기적인 안목으로 변화와 개혁을 외쳤던 이 회장이야말로 시대의 선구자다.

삼성처럼, 세대,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우리도 변해야 한다. 변화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신이 처한 처지를 이유로 변명이 받아드려 질 만큼 작금의 상황이 그리 녹녹하지 않다.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빠른 속도로 사회가 변하고 있다. 그러기에 각자 자신의 처지에 걸맞게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개성 있고 차별화된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변화하지 않으면 안 되는 변화의 주요 요인에는 무엇이 있을까 생각해 보자. 먼저, 온난화에 따른 지구의 온도상승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지구 온도가 10℃이상 오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 이에 따른 큰 변화가 우리 주변에서 일어날 것이다. 둘째는 로봇 인공지능기술 발달이다. 이로 인한 일자리가 최대 80%는 격감할 것이다. 셋째는 코로나 이후 삶의 패러다임 변화를 생각할 수 있다. 사람 간 비대면이 일반화 되면서 외부와 단절된 개인주의가 만연될 것이다. 다음은 민족 간, 세대 간 빠른 이동에 따른 인류의 다양성 형성이다. 따라서 그간의 삶의 패턴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그리고 인구 변화다. 급속한 인구 감소로 산업인구의 감소가 심화될 것이다.     

그렇다면 혁신해야 할 방향은 어디일까. 방향은 넓은 시각과 먼 미래로 향해 있어야 한다.

최첨단 과학의 결정판인 우주선(space shuttle)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있어, 고려되었던 사항 중 하나가 미국의 기차 터널의 폭이었다고 한다. 부품을 기차로 수송하려면 터널 폭보다 커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터널 폭은 기차의 레일 폭이 결정적 요소가 되었다. 기차레일의 폭은 그럼 어떻게 정해졌을까. 이 폭은 두 마리의 말이 끄는 마차의 폭이 기준이었다. 마차의 폭은 두 마리의 말 엉덩이를 합한 넓이다. 그러니 결과적으로 2500년 전 로마시대에 말 두 마리 엉덩이 폭이 오늘날 최 첨단과학의 결정체인 스페이스 셔틀의 크기를 결정 짖는데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꼴이 된다.

2500년 전 마차의 폭이 오늘날 최첨단 기술에 영향을 주었듯이, 오늘의 변화가 오랜 세월이 흐른 후에도 큰 영향력을 발휘 할 수 있다는 점을 마음에 새기고 변화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혁신에 임하는 자세는 어떠해야 할까. 지금의 나의 모든 것을 가능한 한 모두 버리는 자기 부정에서 부터 출발해야 한다. 철저한 자기 부정 없이는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갓 돌 지난 어린 아이의 행동에서 우리는 혁신에 임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다. 아이가 새로운 물건을 쥐려할 때면 기 가지고 놀았던 물건을 버리고 나서야 다른 것을 잡는다. 만약 이 아이가 두 가지 모두를 잡으려했다면 손이 작아 단 한 가지도 쥘 수 없었을 것이다. 아기의 이런 모습에서, 하나를 버리지 않고는 다른 것을 가질 수 없다는 평범한 진리를 깨닫게 된다. 혁신도 그렇다. 철저한 자기 부정 없이는 결코 얻을 수 없다.

혁신을 위한 서로간의 협력과 연대, 그리고 공생이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한 시절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