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탓이지만 전주가 적막강산으로 변했다. 부를 창출할 에너자이저가 없다. 혁신도시에 13개 기관이 입주했지만 아직도 현지화가 덜돼 모두가 손님이다. 금요일 퇴근 때는 서울 등 제 보금자리 찾아가기에 바쁘다. 전국단위기관이라고 존재감만 높이다 보니까 위화감만 생겼다. 도청 소재지인 전주는 갈수록 베드타운 역할만 강화된다. 전주에서 13개 시·군으로 모두 통근이 가능하다 보니까 전주는 잠만 자고 나가는 도시로 전락했다.
인접 청주시는 수도권으로 사실상 편입돼 바이오산업으로 야단법석이다. 산·학·연 체계가 제대로 구축되면서 오송으로 돈과 사람이 몰린다. CJ 등 국내 굴지의 제약업체들이 속속 입주하면서 그 파급력이 세종시까지 뻗쳤다. 청원과 청주가 통합하면서 내년 국가예산도 1조4499억 확보한 가운데 내년 시 예산이 2조6000억으로 늘었다. 청주시는 특례시가 안되어도 도청 소재지 기능을 다한다.
전주시가 70년대만 해도 전국 7대 도시 안에 들었으나 지금 20위권으로 추락한 것은 바깥세상 변화에 둔감한 탓이 크다. 공무원 출신 단체장이 변화를 두렵게 여겨 과감하게 혁신을 못한 게 원인이었다. 정치력이 약해 큰 그림을 그려나갈 줄을 몰랐다. 한옥마을 하나 조성한 것 말고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탄소산업단지를 조성해 효성을 유치했지만, 아직도 경북 구미와의 경쟁은 물론 일본업체와의 경쟁에서 가야 할 길이 멀다.
전주시는 간헐적으로 인접 완주군 경계지역을 시로 편입했지만, 전체면적이 좁다. 팔복동 효성 인근 산단만 조성하면 공단을 조성할 땅도 없다. 김승수 전주시장이 내년도 국가예산을 올해보다 14.5%가 늘어난 8103억 확보했다고 자랑했으나 인구 28만인 익산도 8042억을 확보했다. 너무 특례시 지정에 올인한 게 패착이었다.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재정지원이 뒤따르지 않아 특례시를 굳이 지정 받을 필요가 없다. 그런데도 김 시장이 사력을 다한 걸 보면 정치적 목적달성에 치중한 것이 않았나 하는 의문이 생긴다. 본인은 최선을 다했는데 전국시도지사협의회장인 송하진 지사가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 앞에서 반대해 지정이 안 됐다고 책임을 떠넘겼다.
1995년 단체장 선거 이후 도지사와 전주시장이 협력관계가 아닌 치받는 관계로 가면서 전주 발전이 더뎌지고 있다. 김완주 지사가 시장 때 추진하려던 경전철을 송하진 시장이 추진했다면 전주시는 빚더미에 나앉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사사건건 전주시가 도를 치받고 있다. 인사교류는 물론 전주시가 부담해야 할 재정도 최소한으로 그친다. 전주시 소상공인들이 전북신용보증재단을 가장 많이 이용하므로 출연금을 가장 많이 내야 하지만 의무출연금을 낸 것 이외에는 올해 10억 낸 것이 고작이다.
김 시장은 송하진 지사를 치받지 말고 청주시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전주 완주를 통합시켜야 한다. 특례시 추진은 전북도 전체에 도움이 안 되므로 접고 지금은 지사와 시장 3선 출마 보다는 통합에 전력하길 바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