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4-12-01 19:38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신간] 수용자의 고충과 애환 담아낸 교도관의 편지

익산 출신 김천수 교도관 에세이 <담장안의 풍경> 펴내
수용자 가족, 교도관 정체성 등 여러 이야기 담아

전직 교도관이 33년 간 교정시설에서 근무하며 겪은 에피소드와 느낀 점을 담은 에세이로 펴냈다.

지난 2020년 12월 대전지방교정청을 끝으로 공직을 떠난 김천수 씨가 <담장안의 풍경> (바른북스)을 출간했다.

이번에 그가 펴낸 책은 서울 구치소 등 몇몇 기관에서 기관장을 하면서 소통의 방편으로 소속 구성원에게 보낸 이메일 일부를 엮은 것이다.

대부분 글은 교정 현장에서 저자가 직접 겪고 느꼈던 교도관의 삶과 교정 현장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다.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교정 관련 사안들에 대한 생각과 감회도 밝혔다.

특히 ‘수용자 가족, 그 중에서도 미성년 자녀에 대한 지원의 의미’를 주제로 편 글은 눈길을 끈다.

저자는 이 글에서 조선 전기 문신인 박팽년 집안이 연좌제로 처벌받은 사례와 노무현 전 대통령 장인의 좌익활동 경력이 정치하는 내내 문제가 됐던 점을 들어, 수용자 가족에게 연좌제적 시선을 투영하는 태도를 지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해자 가족, 그 중에서도 미성년 자녀는 가해자가 아닙니다. 이들은 범죄자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비난과 질시, 냉대 속에서 고립되고 위축됩니다. 미성년임에도 제대로 보호받고 양육되지 못하며 사회 저편으로 잊혀져 갑니다. 이유만 다를 뿐 피해자 자녀와 다를 바 없는 환경에 놓이게 됩니다. 이들이 잊혀진 피해자로 불리는 까닭입니다”(‘수용자 가족, 그 중에서도 미성년 자녀에 대한 지원의 의미’ 일부)

저자는 교도관이 수용자 가족을 향해 가져야 하는 태도도 제시한다. 일반 시민들보다 수용자의 가족, 그 중에서도 자녀들을 같은 부류로 바라보는 연좌의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수용자 가족을 지원하는 사람들의 연대나 활동에 적극 동참하진 못할지라도 공감의 마음만은 키웠으면 좋겠다”며 “그게 바로 밉건 곱건 수용자와 함께 가야 하는 교도관의 숙명”이라고 썼다.

익산출신인 김천수 씨는 전북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1987년 교도관으로 임용된 뒤, 서울구치소장을 비롯해 대구, 대전, 광주교도소장 등을 염여김했다. 근무 기간 대부분을 현장에서 보내며 직원 및 수용자와 소통에 힘써오다 지난 2020년 12월 대전지방교정청장을 끝으로 공직을 떠났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