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청년층 유출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청년 유출이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전북지역에서도 각 자치단체가 나서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떠나는 청년들을 붙잡기 위해 다양한 지원제도를 내놓으며 총력을 기울였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이제는 청년층 공동화를 넘어 지역소멸의 위기를 맞으면서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한 지원 정책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리는 느낌도 있다.
가뜩이나 심각했던 청년들의 ‘탈 전북’ 현상이 코로나 시대 한층 더 심화됐다. 지역의 열악한 산업구조에 코로나19 팬데믹까지 겹쳐 취업을 위해 전북을 떠나는 청년 비율이 더 늘었다. 청년 일자리 상황은 그야말로 최악이 됐다. 전북지역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헤매다 결국 가족을 두고 서울 등 수도권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실제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북을 떠난 청년층 인구는 연평균 9만2000명에 달했다.
이 같은 현상이 앞으로도 지속된다면 최근의 저출산 문제와 맞물려 전북의 인구 고령화 현상이 더욱 심화돼 지역의 지속가능성마저 담보할 수 없는 상황까지 몰릴 수 있다. 청년소멸은 지역소멸을 알리는 전주곡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과감한 청년 지원 정책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지켜내는 일이야말로 다른 어떤 문제보다 앞서야 한다.
지역경제에 불어닥친 구직난과 청년 실업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자치단체와 경제계 등이 협력해 지역 특성에 맞는 신산업 분야를 집중 육성해 청년층 고용효과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청년 일자리는 우선 기업에서 만들어내야 하고, 전북지역의 경우 특성상 중소기업의 역할이 요구된다. 하지만 지역 중소기업의 일자리가 한순간에 청년들을 붙잡을 수 있는 좋은 일자리가 되기는 사실상 쉽지 않다. 청년들이 지역의 중소기업에 들어가 장기간 재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청년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경기도가 시행하고 있는 ‘청년 기본소득’ 정책 도입도 고려해 볼만하다. 지역사회는 청년들의 미래를 응원하고 이들이 지역에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할 의무가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