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의 꽃’으로 불리는 총경 승진 인사가 이달 말 예정된 가운데 지방의 치안감급 경찰청의 승진 TO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경찰대 출신 총경 승진자가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치안감급 경찰청의 경찰대 출신 경정급의 인사적체가 심각해서다. 경찰 내·외부에서는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치안감급 경찰청이 경찰대 출신들의 무덤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병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6년(2016~2021년)간 전국 총경 승진자는 539명이다. 이 중 경찰대 출신은 271명이다.
하지만 같은 기간 치안감급 경찰청의 경찰대 출신 총경 승진자는 79명(29.1%)에 불과하다. 반면, 본청(경찰청)과 서울청은 147명(부속기관 포함)의 경찰대 출신 총경을 배출, 54%의 승진비율을 보였다.
특히 본청과 서울청은 2016년 24명, 2017년 20명, 2018년 28명, 2019년 22명, 지난해 25명, 올해 28명의 경찰대 출신 총경 승진자를 배출했지만 전북경찰청의 경우 6년간 겨우 7명의 경찰대 출신 총경 승진자를 배출했을 뿐이다. 심지어 전북경찰청을 포함한 치안감급 경찰청 중 6곳은 한 해에 단 한명의 경찰대 출신이 승진하지 못하는 상황도 반복되고 있다. 인사적체가 심각해질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승진하지 못한 경찰대 출신 경정급 경찰관들은 계급정년으로 경찰제복을 벗고 있다. 전북경찰청의 경우 지난 6월을 시작으로 계급정년을 앞둔 다수의 경찰대 출신 경정급 경찰관은 좌절감에 빠진 채 정년일만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이번 총경 승진 대상자인 33명(2011~2014년 경정) 중 경찰대 출신은 11명에 달하는데, 이번에도 경찰대 출신 총경 승진자가 나오지 않거나 1명의 승진자만 배출할 경우 앞으로 경찰대 출신들의 인사적체 현상은 고착화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치안감급 경찰청의 경찰대 출신 경정급 경찰관이 승진을 많이 하지 못하는 이유는 수도권 집중 승진 현상이 주요 이유로 지목된다. 본청과 서울청 등에서 경찰대 출신을 대거 승진시키고, 지방 경찰청에서는 간부후보생이나 일반 출신을 승진시켜 출신별 승진자 비율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 관계자는 “수도권에서는 간후보와 일반 출신들은 승진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반면, 지역에는 출신분배라는 이유로 되레 경찰대 출신들이 승진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국민의 세금으로 다닌 경찰대인 만큼 지역치안을 위해서 경찰대 출신들이 노력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