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대형건설업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기술 형 입찰이 300억원 미만 공사까지 확대될 전망이어서 전북건설업체들의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기술 형 입찰이란 건설 공사에서 설계, 자재·노무의 조달, 시공 등 모든 공사를 한데 묶어 도급을 맡기는 입찰 방식이며 대표적으로 대안이나 턴키입찰이 꼽히고 있다.
현재 기술 형 입찰은 공사비 300억 원이 넘는 대형공사에 주로 적용하고 있지만 국토부가 최근 스마트 건설기술 등 기술형 입찰 대상공사 확대에 맞춰 300억 원 미만 소규모 공사에 대해 기술형 입찰을 확대하기로 하고, 공사 규모를 고려해 절차와 서류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소규모 기술 형 입찰 확대와 함께 국토부는 기술형 입찰의 적용성 강화에 중점을 두고, 기술형입찰의 전반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기술 형 입찰을 집행하는 발주기관을 지원하기 위한 전담조직을 운영키로 하면서 소규모 공사에도 기술 형 입찰 적용이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다.
하지만 초기설계비용을 부담해야하기 때문에 낙찰을 받지 못할 경우 참여비율에 따라 수천만 원 이상의 초기투자비용을 날릴 수도 있다는 위험성이 커 지역건설업체들이 쉽사리 응찰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전문건설업체의 경우도 적정한 공사비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 업체들의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예산에 적정공사비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던 경우가 많아 낙찰률은 상승한다 해도 공사 수행 과정에서 변수가 발생하게 되면 그 부담은 고스란히 건설사가 떠안아야 하는 구조여서 지역건설사들의 부담이 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같이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자재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지역업체가 공사에 참여한다 해도 적자시공을 감안해야 할 형편이다.
대형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사에 참여했을 경우 준공 후 정산 과정에서 지역업체가 손실을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도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전북지역건설업체 관계자는 “기술 형 입찰의 경우 기초 설계도서를 작성해 입찰에 참가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설계비용을 날릴 수 있다는 위험성 때문에 지역업체가 쉽사리 참가하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도 탈락업체에 대한 보상 규정이 있기는 하지만 현실적이지 않아 지역업체들의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