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만간(7월 말) ‘반도체 인력양성 방안’을 마련하여 발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국립대와 수도권 대형 사립대를 대상으로 △반도체학과 신·증설 여부, △정원활용 온라인 단기학위 과정·복수전공 등 융·복합 교육과정 신설여부, △학과 신·증설 추진을 위한 재정·교원 등 수요조사가 진행 중에 있다.
앞서 과기부는 AI 반도체 인력 양성을 위해서 수도권 3개 대학(서울대, 성균관대, 숭실대)을 'AI 반도체 융합인력양성' 사업수행 대학으로 선정하였고, KAIST와 UNIST는 산학협력대학원 프로그램을 강화하였으며, GIST와 DGIST는 반도체대학원 또는 반도체 전공 설치를 검토 중에 있다.
그런데 정부의 ‘반도체 인력양성 방안’이 수도권 대학의 첨단분야 정원 확대(수도권대학 1만 명, 지방대학 1만 명)로 쏠릴 수 있다는 우려들이 비등하고 있다. 현재의 ‘수도권계획정비법’에 따라 입학증원이 어려우니, 우회하여 계약학과로 채우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반도체학과 1만 명 증원은 블랙홀을 심화시켜, 입학정원 1천 명인 비수도권 대학 10개가 사라질 수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학령인구감소가 급격해지는 구도에서 비수도권대학은 더 이상 설 자리를 찾기 어려울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는 얘기다. 수도권대학 중심의 반도체분야 인력양성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근거나 논리는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비수도권대학에서 반도체 관련 연구성과들이 많고 필요한 수요도 비수도권에 위치해 있다.
성과 면에서는 최근 전북대학교 김태욱 교수팀이 여러 대학과 팀을 이뤄 ‘입는 컴퓨터(웨어러블 컴퓨터)’ 개발에 돌파구가 될 머리카락 굵기의 광섬유에 반도체 소자를 구현해 내는 신기술을 개발했고, 전자공학부를 중심으로 9개 전문기업과 스마트혁신밸리 등이 함께 IoT 반도체 설계 산학협력, 채용연계형 현장실습, 실무중심 인턴십 등의 ‘실무형 반도체 설계 전문 학사양성’에 돌입했다.
수요 측면에서 보면 전라북도는 농생명 분야 반도체 수요가 넘치는 도시다. 스마트 팜 반도체, LED 광 반도체 및 LED 소자, 자율주행 농기계 등을 중심으로 하는 일종의 A-BIT(Agro BT+IT)의 수요가 무궁무진하다. 반도체 테스트베드의 최적지가 전라북도다. 이는 앞으로 지역의 청년과 지방의 기업을 살리는 지속가능한 ‘지식형 산업생태계’로 확장될 수 있는 가장 큰 힘인 것이다.
정부가 향후 10년간 3만 명 가량이 필요한 반도체 인력을 육성하기 위하여, 막힌 규제는 과감히 풀고 확실한 재정적 뒷받침을 하겠다는 기본방침에 대해서는 적극 찬성이다. 하지만 양성인력의 절반을 수도권대학에서 만들어 내겠다는 생각은, 국가의 관점에서도 지역의 입장에서도 재검토되어야 한다. 지역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지역특화산업에 필요한 반도체 인력을 양성하는 방식으로 상당부분 중심이동 되어야 한다.
지금 전북대학교는 농생명혁신기관과 연계하여 농생명반도체융합학과 및 대학원 설치를 서둘 필요가 있다. 대학이 나서 '지역특화산업 인력(지식)의 댐'을 구축해야 한다. 대학이 '산업예측 인력'을 양성하거나, 기업이 '현장투입 인력'을 요구하는 방식을 넘어서야 한다. 지금은 관련 산학관연이 융합학과 교수로 직접 참여하고, 지역이 현장이 되어 특화산업 인력을 만들어내는 ‘반도체(농생명 분야) 산업인력 패스트트랙 제도’를 작동해야 할 때이다. 지금.
/조재영 전북대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